지난 9월중 실업률이 전달보다 0.3%포인트,청년실업률은 0.6%포인트 각각 하락하면서 올 최저수준까지 떨어진 것은 그나마 다행스런 일이다. 특히 한때 8%에 육박했던 청년실업률이 6.7%까지 낮아져 다소 안도감을 주긴 하지만 아직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9월중 실업률 감소는 계절적 요인에 의한 부분이 적지 않은데다 비정규직 채용이 급증하면서 고용의 질은 오히려 나빠진 측면도 있는 만큼 고용문제가 추세적으로 개선되고 있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게다가 최근들어 서비스업을 비롯한 내수불황의 골이 갈수록 깊어지는데다 외부 경제환경까지 악화되고 있어 실업 문제는 조만간 다시 악화추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고 볼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고용안정과 일자리 창출 만큼 절실한 당면과제도 없다는 이야기다. 특히 전체 실업률의 2배 이상에 이르며 국가경제의 미래를 위협하는 청년실업 해소를 위해선 민과 관이 함께 지혜를 모아 총력체제로 임하지 않으면 안된다. 우선 기업들은 사정이 허락하는 한 신규채용 규모를 확대하는 한편으로 인턴십제도도 보다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 제도는 능력을 테스트하면서 우수인재를 발탁할 기회가 되는데다 학생입장에서도 취업 기회가 확대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청년실업 해소에 큰 도움이 될 것이 분명하다. 취업자들도 눈높이를 낮춰야 한다. 중소기업에선 일손부족규모만도 20만명에 이르는 상황에서 실업자가 넘쳐나는 것은 도무지 이해하기 힘든 일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정부의 역할이다. 정부는 일자리 창출에 정책의 최우선 순위를 두고 규제혁파 등을 통해 기업 의욕을 제고하고 국내투자 활성화를 유도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높여 고임금 및 노사분규에 대한 기업 부담을 덜고 신규인력 진출의 길을 넓혀야 한다. 기업들이 국내투자는 외면한 채 해외로만 눈을 돌리는 상황에서는 결코 실업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