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20일 제네바 기본합의가 미국 부시 행정부의 등장과 함께 유명무실해졌다면서 부시 행정부의 대북적대시정책이 가중될수록 북한의 정치ㆍ군사적 대응조치도 계속 강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제네바기본합의문 채택 10주년을 맞아 보도된 `조선중앙통신사 상보'는 우선 "1994년 10월 21일 발표된 조ㆍ미기본합의문 등 양측 간 합의는 조선반도의 핵문제를대화를 통하여 평화적으로 해결하고 두 나라 사이의 적대관계를 개선하는 데서 획기적 의의를 가지는 이정표로 됐다"고 높이 평가했다. 그러나 "이 모든 합의들은 미국에서 부시 행정부의 출현과 더불어 찬서리를 맞아 빛을 잃고 유명무실하게 됐다"고 합의 파기 책임을 부시 미 행정부에 돌렸다. 상보는 `모든 합의들'의 사례로 제네바 기본합의문 외에 1993년 6월 11일자 조ㆍ미공동성명, 1994년 8월 12일자 조ㆍ미합의성명, 2000년 10월 12일 조ㆍ미공동코뮈니케를 열거했다. 상보는 이들 합의를 관통하는 기본정신으로 자주권 상호존중, 적대적 의도 포기,관계정상화를 들고 "그러나 부시 집단은 처음부터 조ㆍ미 사이의 적대관계를 근본적으로 개선할 데 대한 숭고한 이념을 무시하고 대조선 적대시정책을 추구하는 길에나섰다"고 비난했다. 이어 "오늘의 현실은 미국의 가중되는 평화교란행위에 대처해 우리가 핵억제력을 포함한 모든 자위적 수단을 부단히 강화해 온 것이 얼마나 선견지명한 선택이었는가를 여실히 확증해 준다"고 주장한 뒤 "힘은 미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대결에는 대결로, 선제타격에는 선제타격으로 대답하는 것은 우리의 확고부동한 결심이며필승의 신념"이라고 강조했다. 또 미국이 북한의 체제전복까지 기도하는 현재 상황에서는 전쟁억제력을 질ㆍ양적으로 계속 강화하고 대북적대시정책에 대응한 정치ㆍ군사적 조치 또한 강화해 나가는 것이 북측의 확고한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날 상보는 1만5천자에 가까운 장문으로, 주로 외신 보도를 인용해 미측의 합의 위반사항을 일일이 적시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일용 기자 ci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