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로루시 대통령의3기 연임 가능성을 묻는 국민투표에 대해 불공정하다고 비판했던 미국이 경제제재조치를 취하겠다고 나서자 벨로루시는 물론 러시아까지 반발하고 나섰다. 미국은 지난 20일 조지 부시 대통령이 인도적인 지원외에 벨로루시 정부에 대한재정적 지원을 중단할 수 있는 이른바 '벨로루시 민주주의 규약'이라고 불리는 법안에 서명했다. 해당 법에 따르면 미국은 벨로루시의 야당과 비정부기구에 대한 지원을 비롯해벨로루시에 독립 언론을 설립하는 것도 보조할 수 있다. 미국 정부는 벨로루시가 이 법의 족쇄에서 벗어나려면 야당 정치인 석방을 비롯해 언론인, 비정부기구에 대한 탄압 중단, 공정한 선거 보장 등 민주주의를 항한 노력이 있을 때만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벨로루시 외교부는 21일 "해당 법률이 양국간의 관계를 훼손할 수 있으며 벨로루시는 이에 상응한 조치를 취할 권리를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벨로루시와 함께 독립국가연합(CIS)에 속한 러시아도 미국의 제재 움직임에 즉각 반대하고 나섰다. 21일 카자흐스탄의 알마티에서 중국 및 인도 외무장관과 회동을 갖고 있는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제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승인을 받고 국제공동체의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면서 미국의 제재 방침에 반대의견을 피력했다. 콘스탄틴 코사체프 러시아 국가두마(하원) 국제문제위원장도 "미국의 경제제재조치는 비생산적이고 무의미한 것"이라며 "벨로루시 국민투표에 대한 미국의 시각은편중돼있으며 러시아는 벨로루시와 계속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17일 실시된 벨로루시 국민투표에서는 유권자의 77%가 대통령의 3기 연임안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부정선거 의혹으로 인해 벨로루시에서는 항의시위가 계속되고 있다. (모스크바=연합뉴스) 김병호 특파원 jerom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