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7일자) 달러약세ㆍ원화강세 심상치 않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사상 최고 수준의 고유가로 어려움을 겪는 세계 경제에 달러화 약세라는 이른바 '미국발 쇼크'까지 겹치면서 국제 금융시장이 출렁거리고 있다.
특히 지나친 원화강세를 막기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시장에 개입해 오던 우리나라는 원화가치가 4년만에 가장 높은 시세를 기록하는 등 외환시장이 매우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걱정이다.
환율의 급격한 변화,특히 원화의 급격한 절상은 외환시장과 금융시장은 물론 곧바로 수출기업들의 채산성 악화로 이어져 실물경제 전반에 적지않은 충격을 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그러나 더욱 염려스러운 것은 경기침체에 고유가와 달러약세까지 겹친 삼중고(三重苦)가 당분간 해소되기 어려울 것이란 점이다.
최근 달러약세의 원인은 고유가 부담으로 미국 경제 성장이 크게 둔화되고,그로 인해 미국내 자금 이탈이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가 안정 없이는 국제금융시장의 혼란도 근본적인 해결이 어려울 것임은 자명한 사실이다.
최근 아시안월스트리트저널(AWSJ)이 내년도 아시아 국가들의 경제성장률이 당초 전망보다 3.5~5.0%포인트 떨어질수 있다고 경고한 것도 그런 불안한 국제 경제 정세를 반영하는 것이다.
가뜩이나 우리 경제는 아시아 다른 나라에 비해 더욱 취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런 전망의 연장선상에서 본다면 내년에 4% 안팎의 성장이 예상되는 우리 경제의 경우 자칫 마이너스 성장까지도 배제할수 없다는 얘기가 된다.
이미 정부는 '한국형 뉴딜정책'이라고 이름을 지은 경기대책을 곧 발표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이 대책은 주로 건설경기 연착륙 방안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제는 여기에 더해 국제금융시장의 변화와 수출위축을 가져올지도 모르는 원화강세라는 새로운 변수까지를 감안한 종합적인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물론 환율은 정부가 결정할 일은 아니다.
그러나 급격한 환율 상승이나 하락이 주는 충격을 감안하면 정부와 중앙은행이 환율급변을 막기 위해 가능한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야 마땅하다.
그것이 바로 정부와 중앙은행의 역할이기도 하다.
환율은 시장수급과 경제상황변화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지만 만약 원화강세가 불가피할 경우에는 기업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금리의 추가인하나 유류세 탄력세율을 내리는 등 종합적인 보완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정책은 타이밍이 중요하다.
지금이 바로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모든 정책과 수단을 동원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