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침체기 투자전략] 충청권 토지 '일단 기다려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충청권 토지 투자 시대는 막을 내린 것인가 아니면 아직도 진행형인가.'
신행정수도 건설 무산 이후 충청권 토지시장 전망과 투자 전략에 대한 부동산 전문가들의 의견이 여·야의 대치 국면처럼 첨예하게 엇갈리고 있다.
폭락할 것이란 전문가가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을 것으로 보는 전문가도 있다.
급매물을 잡으라는 전문가도 있고 충청권은 아예 쳐다보지도 말라는 이도 있다.
다만 기존 투자자들에 대해선 이구동성으로 성급하게 팔지 말고 관망할 것으로 주문했다.
◆폭락 대(對) 소폭 조정
진명기 JMK플래닝 사장은 "심리적 공황상태가 지나면 뒤를 이어 투매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가격도 큰 폭으로 하락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광영 한국부동산경제연구소장도 "개발진행 정도에 맞춰 서서히 오른 것이 아니라 가수요로 급격이 오른 상태여서 충청권 토지엔 거품이 많다"며 큰 폭의 가격 조정을 예상했다.
그러나 고준석 신한은행 재테크 팀장은 비교적 시장을 낙관했다.
정부의 후속대책에 영향을 받아 예상 외로 낙폭이 미미할 것이란 시각이다.
거꾸로 소폭 오를 수도 있다고 고 팀장은 보고 있다.
닥터아파트의 곽창석 이사도 "하방경직성이 강한 부동산의 특성상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가격이 그리 많이 떨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임달호 현도컨설팅 사장은 지역별로 다른 반응이 나올 것으로 내다봤다.
신행정수도와 관계있는 충청권은 급락세를 보이겠지만 이와 무관하게 개별재료를 가진 곳은 별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즉 경부고속철도가 개통된 천안·아산 지역이나 고속도로나 국도가 개통될 예정인 곳은 자체 재료에 따라 움직일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토지시장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은 여전할 것으로 부동산 전문가들은 예상했다.
아파트 투자에는 워낙 장벽이 많아 시중 부동자금이 여전히 토지시장 주변을 기웃거릴 것이란 관측이다.
◆기존 투자자는 기다려야
기존 투자자 전략에 대해 토지 전문가들은 이구동성으로 관망할 것을 주문했다.
무엇보다 급매로 내놔봐야 팔리지 않기 때문이다.
또 투매에 나섬으로써 가격만 더 큰 폭으로 떨어뜨릴 가능성도 높다.
차라리 가만히 있는 것이 가격 안정에 도움이 된다는 시각이다.
특히 연기·장기지구의 경우 정부가 다른 대안을 내놓을 가능성이 아주 높아 정부의 대책을 기다려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또 장기간 돈이 묶일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시 투자 바람을 타려면 10년 이상 기다려야 하는 지역도 있다는 시각이다.
특히 대토를 노리고 신행정수도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의 농지를 산 사람들일 수록 마음을 단단히 먹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다.
◆신규 투자자는 정석투자 해야
신규 투자자들의 전략에 대해서도 전문가들의 전망은 엇갈린다.
고준석 신한은행 부동산재테크팀장은 "정부에서 충청권을 방치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여 이번 기회에 급매물을 가려서 사는 것도 좋은 투자 전략"이라고 말했다.
곽창석 부동산퍼스트 이사도 "충청권 개발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여서 싼 매물은 잡아도 좋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진명기 JMK플래닝 사장은 "신행정수도를 대체하는 시설이 오더라도 그것이 가지는 파급효과는 신행정수도보다 미약할 수밖에 없다"며 "아직 토지가격이 싼 강원권이나 수혜가 기대되는 수도권 외곽을 공략하는 것이 오히려 낫다"고 말했다.
임달호 현도컨설팅 사장도 "일단 충청권은 배제하고 도로개통으로 접근성이 좋아지는 곳 등을 골라 길게 보고 정석투자를 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고 말했다.
한국부동산경제연구소 정광영 소장은 "개발 가능성이 높은 수도권 외곽을 공략하거나 내년 봄쯤 경매시장에서 아주 싼 충청권 토지를 선별적으로 매수하는 전략을 구사하라"고 조언했다.
경매의 경우 여러곳에 무리하게 투자해둔 이들이 이자부담을 이기지 못하고 경매를 당할 가능성이 있어 이런 매물을 길게 보고 싼값에 주워담으라는 이야기다.
조성근 기자 trut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