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행정수도 건설이 무산되자 은행들이 이 지역 부동산을 담보로 한 대출에 대해 본격적인 여신관리에 들어갔다.


부동산가격이 급락하면 대출의 안전성이 떨어져 은행 건전성에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조치다.


28일 금융계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최근 전국 영업점에 내려보낸 공문을 통해 "충청남도와 대전광역시 소재 부동산을 담보로 잡을 때는 향후 가격 하락 가능성을 충분히 고려하라"고 지시했다.


이 은행은 또 이미 담보대출을 받은 고객에 대해서도 "가격변동 가능성과 상환능력 심사 등을 통해 대출부실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후관리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따라 충남·대전지역의 경우 부동산을 담보로 대출받을 수 있는 금액이 크게 줄어들고 기존대출의 연장도 까다로워질 전망이다.


우리은행도 최근 일선 지점에 "충청권 지역 부동산 담보물을 철저히 관리하라"고 지침을 시달했다.


이 은행은 "충청권 부동산 가격의 하락이 예상되므로 각 영업점에서는 이미 취득한 담보부동산에 대해 수시로 점검하라"며 "점검결과 현저한 가격하락이 예상되면 채권회수에 차질이 없도록 관리하고 필요시 추가적인 채권보전 조치를 취하라"고 지시했다.


또 "신규여신 취급시에도 가격변동성을 감안해 담보물 취득에 신중을 기해달라"고 말해 대출한도를 보수적으로 운용할 것을 당부했다.


외환은행 역시 충청권 여신 등에 대한 점검에 들어갔다.


외환은행은 '우선점검 대상'으로 △행정수도 후보지인 연기,공주△최근 토지가격이 급등한 보령,서천,부여,보은,당진,아산,천안△토지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예산,서산,태안,청양,홍성,논산지역 등의 부동산 담보대출을 꼽았다.


또 아파트시세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으로 △행정수도 배후도시 역할이 기대됐던 대전 노은지구,조치원 지역△고속철 개통의 재료와 병행되는 천안,아산,오송,오창,청주지역(단기적 가격 조정 예상) 등을 지목하고 이들 지역의 주택담보대출도 우선적으로 점검하라고 지시했다.


아울러 프로젝트파이낸싱,건설업 등 부동산 경기와 밀접히 연관된 대출도 중점 점검하라고 당부했다.


구체적으로는 △충청권에 본사를 두고 있는 건설·부동산업체 대출 △충청지역 부동산 개발금융 관련 대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 관련 집단 중도금대출 등을 꼽았다.


특히 "분양완료된 사업이라도 부동산 가치 하락에 따라 중도해지가 예상되는 만큼 분양 완료된 사업에 대해서도 재점검을 실시하라"고 요청했다.


한편 하나은행은 "충청권 연체율이 2% 정도로 낮은 수준이고 아파트 담보인정비율(시세 대비 대출금액)도 50% 안팎이어서 부동산가격이 현재의 절반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한 손실위험이 없다"고 밝혔다.


김인식 기자 sskis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