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9년만에 처음 실시한 전격적인 금리인상이 우리 경제에 몰고올 파장은 적지 않을 것 같다. 비록 인상폭이 0.27%포인트로 그리 크지는 않지만 중국이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우리의 최대 수출국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중국의 긴축강화가 주는 파급효과는 결코 만만치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중국의 금리인상은 국제유가의 고공행진이 계속되고,원화 강세 등 우리 수출여건이 점점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업친데 덮친 격으로 다가왔다는 점에서 우리 수출업체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이 경기과열을 막기위해 앞으로 금리를 더 올릴 것이고,결국은 위안화를 절상할 가능성도 크다는 국내외 전문가들의 지적이 많은 터이고 보면 하루빨리 그같은 상황에 대비한 충분한 대응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더군다나 작금의 경제상황은 외부의 작은 충격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을 정도로 취약한게 현실이다. 어제 통계청이 발표한 "9월 산업활동동향"을 봐도 우리 경제는 지금 경기가 살아나기도 전에 다시 꺽이는 "더블딥"이 현실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경기동행지수가 6개월 연속 하락하는등 경기가 본격 하강국면에 접어든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나마 경제를 지탱해주던 수출마저 둔화되고 있을 정도이다. 물론 중국이 연착륙에 성공하면 우리 경제에 장기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란 분석도 많은 편이다. 특히 국제 원자재 가격이 떨어지면서 고비용구조가 해소될 것이란 기대도 있다. 그동안 대출억제 등 행정조치에 의존해오던 중국의 경제정책이 금리조절이라는 시장친화적인 정책을 사용하는등 시장중심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다는 점도 우리 기업들에겐 결코 불리하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의 경기침체가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중국이 금리 추가인상 등 긴축고삐를 더욱 잡아당긴다면 우리의 정책적인 운신의 폭은 점점 적어질수밖에 없다. 때문에 정부는 더 늦기전에 시장에 경기부양을 위한 분명한 사인을 보내는등 정책의 불확실성을 제거해주고,금리추가인하와 재정확대를 검토해 보는등 과감한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