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청이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협력증진을 위해 '대·중소기업협력재단'을 설치한다. 김성진 중소기업청장은 1일 서울 은행연합회 뱅커스클럽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달 중 기업간 협력증진법을 개정해 첫 단계로 정부예산 20억원을 들여 대·중소기업협력재단을 설치하겠다"고 말했다. 이 재단은 모기업의 어음결제 지연 등을 막을 수 있는 대책을 연구하고 공동 기술개발 등 협력사업을 지원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이 재단은 전국경제인연합회 대한상의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등이 공동으로 참여해 협력사업을 입안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구로 자리잡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지역단위 협의체를 결성,모기업의 횡포나 수급기업의 품질미달 등을 개선하는 방안도 강구하기로 했다. 김 청장은 대기업이 개발한 기술과 경영노하우를 전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김 청장은 "납품대금 결제를 계속 미루는 대기업에 대해서는 행정자치부와 협의해 각종 정부포상을 6개월 간 정지시키는 방안도 수립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김 청장은 혁신선도기업 육성을 위해 기술혁신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기술혁신분야에 투자의욕을 높이는 '신벤처정책'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김 청장은 "내수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됨에 따라 이 같은 장기적인 대책수립에 앞서 중소기업들이 당면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은행 대출금 조기 회수,대출한도 축소 문제를 해결하는 데 온힘을 쏟겠다"고 다짐했다. 이에 따라 중기청은 중소기업정책자금 추가조성 등을 통해 6백억원의 창업자금을 추가로 마련하기도 했다. 김 청장은 중소기업의 공공구매시장 참여확대를 위해 공사용 자재 가운데 분리구매가 가능한 품목을 선정,고시해 중소기업에 우대혜택을 주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 밖에 재래시장 상인들의 불황이 심각한 점을 해소하기 위해 재래시장에도 온라인 쇼핑몰을 설치토록 지원하기로 했다. 김 청장은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은 지금까지와 같이 일률적으로 지원하지 않고 기업별로 맞춤형 지원 프로세스를 먼저 설정한 뒤 차례대로 지원해 주겠다"고 강조했다. 이치구 전문기자 rh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