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스 보이스] 중병 앓고 있는 중소병원‥김철수 전국중소병원협의회 회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제가 외환위기 때보다 더 어렵다고 야단이다.
의료계도 예외는 아니다.
특히 4백병상 미만의 중소병원 경영은 위기감마저 감돌고 있다.
중소병원의 경영수지는 지난 96년부터 적자를 기록했으며 IMF 이후 더욱 악화됐다.
게다가 의약분업 이후 환자들이 1차 의료기관에만 몰림으로써 병원급 의료기관의 외래환자 수는 두자릿수 이상 크게 줄었다.
이 때문에 중소병원 도산율은 2002년과 2003년 연속 10%를 훌쩍 넘어섰다.
우리나라 전체병원 1천2백14개 가운데 20%에 가까운 2백19개 병원이 의료기기 및 의약품 대금,시설비 등을 갚지 못해 건강보험공단이 지급할 급여비에서 압류당한 금액이 7천6백15억원에 달하고 있는 형편이다.
중소병원은 우리나라 전체 병원의 86%,병상수로는 54%를 점유하며 지역 의료공급의 중추적 역할을 맡고 있다.
특히 농촌지역의 경우 지역주민의 병원 접근성과 편리성이 높아 지역 내 입원진료의 상당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이처럼 중소병원이 국민의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데도 무거운 조세부담과 의료 전달체계 왜곡으로 시달리고 있으며 별다른 정책지원도 받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중소병원들의 경영난 타개를 위해 정부차원의 대책마련 및 실천의지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우선 원가에 훨씬 못 미치는 입원료(중환자실 포함)와 응급의료수가를 시급히 현실화해야 한다.
또 병·의원간 공정한 경쟁이 가능하도록 의원 외래환자 본인 부담금과 요양기관 종별 가산율을 조정해야 마땅하다.
의료취약지역 중소병원의 시설장비 구입 등에 보조금을 지원하고,세제지원을 크게 늘려야 하며 저리자금 융자제도를 시행할 것을 제안한다.
의사 구인난 해소를 위해 공보의 및 전공의 선발기준을 완화하고 중소병원에도 이들을 파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끝으로 병원급 의료기관의 육성발전을 통해 의료전달체계 확립 및 역할분담을 이룰 수 있도록 의료당국은 '중소병원 지원육성법'을 조속히 제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