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11일째 내림세 .. 美 약달러정책...추가하락할듯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원·달러 환율이 하락세를 거듭하며 1천1백10원선마저 위협하고 있다.
세계적인 달러화 약세 흐름속에 외환위기 이후 최저수준(2000년 9월4일 1천1백4원40전)에 바짝 다가선 것이다.
시장의 관심은 7년간 유지해온 1천1백원대를 깨고 추가 하락할지에 모아지고 있다.
추세적인 달러 약세(원화환율 하락세)를 저지할 요인이 별로 없어 보이기 때문이다.
◆환율상승 요인이 없는 시장
원·달러 환율은 지난달 19일(1천1백44원80전) 이후 단 하루를 빼고 11일(거래일 기준) 내내 하락했다.
4년간 유지됐던 1천1백40원선이 무너진 지 불과 9일만인 5일에는 1천1백10원60전까지 하락,1천1백원대를 코 앞에 뒀다.
미국 대선이란 불확실성이 사라졌지만 달러 약세기조에는 변화가 없고 국내에서도 환율 하락세를 반전시킬 만한 계기를 찾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한은 관계자는 "밖에서는 달러약세 지속,안에서는 그동안 쥐고 있던 달러화 물량 조정 과정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국제금융시장의 흐름을 국내 외환시장이 자연스럽게 흡수해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되는 말이다.
이진우 농협선물 부장도 "환율의 바닥을 다지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1천1백10원선마저 깨질까
향후 환율 흐름에 대해 시장 전문가들의 전망은 다소 엇갈린다.
황연태 LG선물 연구원은 "1천1백10원대가 무너지면 외환위기 이후 최저치인 1천1백4원대가 가시권 내에 들어오게 되므로 이 심리적 지지선이 깨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구길모 외환은행 과장은 "1천1백10원은 별 의미가 없는 지지선으로 보인다"며 "6일(한국시간) 발표될 미국의 고용지표가 호전되면 환율의 일시적 반등이 있을지 몰라도 1천1백원대로 내려설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 같다"고 말했다.
엔·달러 환율의 하락세에 따라 저점을 경신할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한은은 환율방어를 위해 무리하진 않겠다는 입장이다.
한은 관계자는 "글로벌 달러 약세라는 흐름도 중요하고 국내에서 1천1백10원대도 분명한 심리적 지지선 성격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한은의 움직임에 비춰보면 '낙폭을 줄이기 위해 노력은 하지만 엔·달러환율 하락 등의 변수로 환율이 밀리면 이를 막기 위해 무리한 수단을 동원하지 않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일단 주말로 예정된 미국 고용동향 발표가 외환시장에는 단기적으로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김용준 기자 juny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