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S증권은 원高가 업종별로 상이한 영향을 미치나 증시 전체적으로 부정적이지 않다고 평가했다. 9일 UBS 장영우 전무는 외환위기이후 원화 절상(달러대비)는 종합지수와 긍정적 관계를 보였으며 지수를 후행하는 특성을 보였다고 진단했다.(3차례 예외) 장 전무는 "따라서 원화 강세가 반드시 종합지수에 부정적인 것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다만 업종이나 종목별로 상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업종별로 조선-기술-화학-자동차업종이 부정적이며 원화 1% 절상시 순익에 미치는 영향은 현대중공업이 (-)12.0%로 가장 큰 것으로 분석.삼성전기(-3.5%;원화 1% 절상시 순익 영향),삼성SDI(-3.0%),삼성전자(-2.5%),LG전자(-2.0%),호남석유(-2.0%),대우조선(-1.6%),기아차(-1.5%),LG화학(-1.5%),현대차(-1.5%),현대모비스(-0.2%) 등으로 산출. 한편 긍정적 영향을 받은 업종은 수입업체와 달러부채 보유기업들이며 종목으로는 대한항공(+5.0%;원화 1% 절상시 순익 영향),S-Oil(+3.0%),SK(+3.0%),한국전력(+2.9%),POSCO(+0.7%),신세계(+0.5%),한국가스공사(+0.2%) 등으로 조사. 이밖에 은행-통신-보험 등은 외환 변동과 무관하다고 지적. 한경닷컴 박병우기자 parkb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