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장기화되고 있는 경기침체로 지방세수입이 지난해에 비해 크게 감소함에 따라 연말까지 지방세 징수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이를 위해 도(道)는 9일 오후 시.군.구 세무과장들을 소집, 지방세 징수를 위한대책회의를 가졌다. 이날 회의에서 도는 참석자들에게 각 시.군별로 세수확보를 위한 특별대책반을 설치, 운영하고 비과세.감면.사치성 재산 등 누락세원을 적극 발굴, 징수하도록 지시했다. 또 고액.고질체납자들을 대상으로 특별 징수기간 등을 설정, 징수활동을 강화하도록 당부했다. 특히 체납세 징수를 위해 체납자들의 차량 및 아파트 분양권, 골프.콘도미니엄회원권 등을 압류조치하고 국민건강보험공단 등을 통해 체납자에 대한 직장 등을 확인, 급여를 압류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일선 시.군에 체납액정리 전담조직을 신설하고 징수포상금제 실시 등특수시책을 추진, 체납세 징수에 대한 직원들의 책임감과 의욕을 고취시키도록 시달했다. 올들어 지난 9월말까지 도내 지방세 징수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천600억원가량 감소했으며 연말까지는 감소폭이 3천600여억원으로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반면 도내 체납세은 지난 8월말 현재 6천28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5천805억원보다 8.3%(479억원) 늘어났다. 체납세는 주민세가 30%로 가장 많고 자동차세 27%, 취득세 18% 등 이었으며 체납 원인은 납세능력 상실이 41%, 납세기피 35%, 납세자 행방불명 11%, 소송계류 4%등 이었다. 도 관계자는 "지방세 수입이 감소하고 체납액이 늘어날 경우 도민을 위한 지자체 시책사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며 "앞으로 체납세를 포함한 지방세 징수에 총력을 기울여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수원=연합뉴스) 김광호 기자 kwa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