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정부가 내놓은 부동산시장 규제완화안은 침체기로 접어든 부동산 시장상황을 반전시키기에는 역부족이지만 지방권 투기과열지구에서는 분양시장이 다소 숨통을 트게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하지만 주택거래신고제 부분 해제나 지방권 재건축단지를 후분양제 적용대상에서 제외시킨 조치는 시장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방권 블루칩 아파트 중심으로 투자수요 살아날 듯 시장이 극도로 침체된 상황이어서 이번 분양권 전매제한 규제 완화가 일시에 시장 분위기를 반전시키지는 못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그러나 부산 대구 등 대도시권에서는 투자가치가 높은 일부 아파트를 중심으로 투자수요가 다시 살아날 것으로 전문가들은 기대했다. 내집마련정보사 김영진 사장은 "전매를 할 수 있다는 점이 실수요자뿐아니라 투자자들에게도 상당히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새로 분양하는 아파트는 물론이고 미분양 아파트나 1년 지난 기존 분양권 중에 투자가치가 있는 물건의 거래가 살아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SK건설 장태일 상무는 "입지가 뛰어난 신규 분양 단지는 적어도 대규모 미분양 사태에서 벗어나게 될 것"이라며 "그러나 투기바람이 재연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점쳤다. ◆주택거래신고제 해제 효과는 거의 없을 듯 일선 중개업소들은 주택거래신고지역 해제 결정이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겠지만 거래량이 급증하는 등의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실거래가 기준으로 거래세가 부과되는 내년 7월까지 한시적인 부양책일 뿐이라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신고대상에서 풀려난 지역의 경우 당장은 거래세가 줄어들지만 내년 중개업법이 개정되면 이번 조치의 효과가 사라지게 된다"며 "집값이 계속 떨어지는 상황이어서 이번 조치가 실수요자들의 구매심리를 자극하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해당 지역의 중개업소 관계자들은 그동안 거래세 부담으로 적체됐던 급매물을 중심으로 거래가 다소 살아날 것으로 기대했다. 송파구 풍납동 신현대공인 신순복 사장은 "한 달에 5~8건 이뤄지던 거래가 신고지역지정 이후 완전히 실종됐다"며 "당장 집을 옮겨야 하는 실수요자 중심으로 거래가 1~2건 이뤄질 가능성은 있다"고 말했다. ◆재건축 시장은 영향 거의 없을 듯 재건축 시장은 사실상 서울의 강남권이 주도해왔던 만큼 이번 조치로 시장이 영향받을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권 재건축 추진 단지들의 경우 '후분양' 부담에서 벗어났지만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미미해 효과가 가시화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작 재건축사업이 활발한 서울과 수도권 주요 지역을 제외시킴으로써 당분간 재건축 시장이 회복되기는 어렵다"고 전제한 뒤 "그러나 후분양 규제에서 풀려난 수도권 일부 지역과 지방 대도시의 일부 단지를 중심으로 재건축이 다시 활기를 띨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동민 기자 gmkd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