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뭄에 단비같은 소식입니다.' 부산 대구 등 지방권 투기과열지구에서 아파트 분양을 앞둔 건설업체들은 전매금지 기간 완화조치가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며 분양 준비에 분주하다. 부산에서 분양에 나서는 LG건설 관계자는 "현재는 계약 후 등기 때까지 약 3년간 전매가 불가능했으나 내년부터는 대략 2회차 중도금 납입 이후부터는 전매가 가능해진다"며 "특히 분양권은 취득·등록세나 양도세 등에서도 기존 주택보다 절세효과가 크기 때문에 최근의 세금강화 정책과 맞물려 투자수요가 다시 살아날 것"이라고 기대했다. 분양권 전매금지 요건이 완화되는 지방 6개 지역 가운데서도 연말께 분양물량이 집중돼 있는 부산이 가장 크게 반사이익을 볼 것으로 업계는 예상했다. 부산의 경우 상당수 업체들이 분양을 미뤄오면서 11,12월에 공급될 물량이 1만3천여가구에 달한다. 이 가운데 '오륙도 SK뷰(조감도)'와 'LG 메트로시티','롯데 몰운대' 등은 2천가구가 넘는 매머드급 단지여서 그동안 분양일정 조정에 애를 태웠으나 이번 조치로 한숨 돌리게 됐다. SK건설의 하두천 소장은 "과거와 같은 묻지마 청약열풍은 없겠지만 투자자와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살아날 것으로 보여 계약률을 최소 20∼30%포인트 이상 끌어올린다는 목표로 분양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방에서 장기 미분양으로 고전 중이거나 계약을 앞둔 업체들도 이번 조치를 반기며 계약률 제고에 적극 나설 태세다. 지금까지 부산 대구 울산 광주 등 주요 광역시에서는 대부분의 업체들이 악성 미분양으로 애를 먹었다. 이들 업체는 그러나 정부가 완화조치를 발표한 9일 오후부터 전화문의가 늘어나는 등 시장반응이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며 공세적인 마케팅에 나서고 있다. 대구에서 달성래미안을 분양 중인 삼성물산 심정보 소장은 "초기계약률 70% 달성도 어려울 것으로 우려했으나 전매완화조치 덕분에 숨통이 트이게 됐다"며 "이번 호재를 계기로 계약률을 최대한 끌어올리겠다"고 말했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