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은 공복시 혈당치가 1백10mg/dl가 넘으면 당뇨병으로 진단해야 한다는 새로운 진단 기준이 제시됐다. 지금까지 국내외에서 준용된 당뇨병 진단 기준 공복 혈당은 지난 97년 미국 당뇨병학회와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1백26mg/dl였다. 대한당뇨병학회 진단소위원회(위원장 박경수 서울대 의대 교수)는 미국 당뇨병학회에서 제시한 당뇨병 진단 기준의 적정성을 평가하고 국내에 맞는 당뇨병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90년 이후 학술적으로 검증된 당뇨병 연구를 종합 분석한 결과 이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최근 열린 대한당뇨병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됐다. 위원회는 이번 진단 기준 설정을 위해 서울 목동,경기 연천·안산,전북 정읍 등 그동안 전국 4개 지역에서 대규모로 실시됐던 당뇨병 연구 결과를 종합 분석했다. 전체 분석 대상자는 6천2백34명으로 이들의 평균 연령은 51.9세(18~99세),평균 체중은 60.3kg,평균 공복 혈당은 96mg/dl,식후 2시간 혈당 평균치는 1백22.6mg/dl였다. 전체 연구 대상자들의 당뇨병 유병률(기준치 1백26 적용)은 10.2%로 나타났는데 이외에도 전체의 7%는 공복 혈당장애(공복 혈당 1백10~1백25mg/dl)가 있었으며 13.5%는 내당능 장애(식후 2시간 혈당이 1백40~1백99mg/dl)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공복 혈당 장애와 내당능 장애는 향후 당뇨병으로 진행할 수 있는 당뇨 전단계다. 위원회는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인의 최적 공복 혈당 값은 1백10mg/dl라는 결론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김문권 기자 m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