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주주 횡포 '갈수록 태산'] 우선주는 감독 사각지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업 지배구조가 취약한 기업의 우선주를 상대로 외국인들이 벌이는 '돈잔치'는 국내 기업들의 비용부담 증가를 유발한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다.
전문가들은 해당 업체는 물론 현행 법규로도 마땅한 대응책이 없다며 증권당국이 후속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할 때라고 강조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우선주는 보통주와는 달리 외국인 지분취득 신고 의무가 없는 등 관리감독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외국인들의 새로운 '주가 올리기' 수단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행 증권거래법에 따르면 외국인은 특정 기업의 보통주와 CB(전환사채) BW(신주인수권부사채) 등 주식 관련 사채를 5% 이상 매집할 때 취득목적 등을 신고토록 하고 있다.
이른바 '5%룰'이다.
그러나 이 규정은 우선주에 대해선 적용되지 않는다.
우선주는 의결권이 없어 기업의 경영권 방어와 무관하다는 것이 그 이유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우선주에 대해서도 관리·감독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만우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는 "단기 투자수익을 겨냥한 외국인들은 지배구조가 취약한 기업의 보통주뿐만 아니라 우선주도 타깃으로 삼고 있다"며 "우선주 주가를 띄운 후 차익실현에 나설 경우 결국 피해는 해당 기업과 국내 투자자들에게 돌아간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따라서 "우선주에 대해서도 대량 매집하고 있는 외국인이 누구인지,내부정보 이용혐의는 없는지 등을 감독당국이 철저히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우선주에 대한 외국인들의 이 같은 '작전' 외에 지능화되고 있는 '주가 띄우기'용 경영간섭에 대한 대응책 마련도 시급하다.
그러나 금감원은 "외국인 투자자의 요구를 순수한 주주로서의 권리로 볼 것인지,경영권 침해로 볼 것인지는 논란의 대상"이라며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이에 대해 업계 한 관계자는 "지분취득 신고 당시 투자목적이라고 밝혀 놓고 자사주 소각 등은 물론 아예 경영진 교체까지 요구하고있는 것은 명백한 경영권 침해"라고 강조했다.
그는 "외국인 투자자의 부당한 요구로부터 기업을 보호할 수 있는 대책이 하루빨리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종태 기자 jtch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