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공무원노조(전공노) 총파업과 관련,파면·해임 등 중징계 대상 지방공무원은 2천4백82명으로 17일 집계됐다. 이번 중징계 대상자 수는 전국 지방자치단체별로 파업 참여인원에 대한 최종확인 작업을 계속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다소 늘거나 줄어들 여지는 있다. 김대환 노동부 장관도 이날 "전공노의 파업과 관련해 중징계 방침은 변함없다"면서 "복귀시점에 따라 징계수위는 다소 달라질 수 있고 사안에 따라 가볍게 처리되는 경우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전교조 사태 이후 사상 최대의 공무원 해직사태는 불가피해 보인다. 행정자치부는 이날 지자체별로 집계한 전공노 파업 가담자에 대한 중징계 대상자가 2천4백82명이고 이 중 1천62명에 대해 징계 절차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중징계 대상자는 지방공무원 2천4백82명에 중앙부처 국가공무원 6명까지 합하면 2천4백88명으로 늘어난다. 특히 원주시의 경우 징계절차가 진행중인 공무원이 3백95명으로 전국 지자체 가운데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총파업 사흘째에 접어든 전공노는 이날 총파업을 일시 철회하고 18일 업무에 복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전공노는 정부가 대화에 나서지 않는다면 26일 민주노총의 총파업 투쟁일에 맞춰 다시 파업에 돌입한다는 입장이다. 김철수 기자 kcs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