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수능시험부터 원점수가 주어지지 않고 표준점수만 제공되기 때문에 원점수의 총점이 같더라도 같은 영역.과목에서 같은 원점수를얻지 않는 한 표준점수 합계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물론 대학이 전형에서 표준점수를 활용하지 않고 백분위나 등급을 쓰거나, 적어도 탐구영역에서 백분위 등을 사용해 표준점수 차이를 보정할 경우에는 또다른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 ◆표준점수 산출= 먼저 영역(과목)별로 Z점수를 구한다. Z점수는 수험생 원점수에서 수험생이 속한 집단의 평균점수를 뺀 값을 표준편차로 나눠 얻게 되며 이렇게 나온 Z점수에 언어.수리.외국어영역의 경우 20을 곱한 뒤100을 더해, 탐구 및 제2외국어/한문영역은 10을 곱한 뒤 50을 더하면 각 수험생의표준점수가 산출된다. 원점수에는 만점이 있지만 표준점수에는 만점이 없고 원점수에는 `0점'이 있지만 표준점수에는 `0점'이 없다. 원점수 만점에 해당되더라도 표준점수의 최고점은 평균과 표준편차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 표준점수의 범위는 언어.수리.외국어의 경우 0~200점, 탐구와 제2외국어/한문은0~100점이지만 원점수 분포가 정규분포라고 가정할 때 앞의 것은 대체로 40~160점,뒤의 것은 20~80점으로 변환된다. ◆표준점수 유.불리= 원점수에 익숙한 수험생들이 표준점수로 환산했을 때 유.불리를 느끼는 것은 자신이 선택한 영역.과목의 난이도나 자신의 속한 집단의 수준을 인정하는데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컨대 원점수로 100점 만점에 같은 90점을 받았더라도 그 집단의 평균이 70점이냐, 80점이냐에 따라 70점인 집단에서 90점의 표준점수는 훨씬 높게 올라가고, 모든 문제를 맞혀 원점수로는 같은 만점을 받았더라도 난이도가 높거나 집단의 수준이낮아 평균점수이 낮은 과목에서 만점을 얻은 수험생의 표준점수가 더 높게 올라가는것. 마찬가지로 Z점수를 구할 때 분모가 되는 표준편차가 작은 영역 및 과목에서 높은 원점수를 얻은 학생이 높은 표준점수를 얻게 된다. 김영일 중앙학원장은 "표준점수 유.불리 정도는 다음달 14일 발표되는 성적결과(평균 및 표준편차)에 따라 달라진다"고 설명했다. (서울=연합뉴스) 강의영 기자 keyke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