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커닝, 앞으로가 문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공부는 뭐하러 하라고 그럽니까.부정행위 한번이면 인생이 달라지는데."
광주에서 발생한 대학수학능력시험 부정 사건에 대해 고3 자녀를 둔 한 학부모의 한탄이다.
그는 "지방에서도 1백명 규모의 조직적인 부정행위가 벌어지는데 서울은 어떻겠냐"며 "마음이 상했을 자식들에게 해 줄 말이 없다"고 덧붙였다.
학부모들의 원성이 높아가고 있지만 주무부처인 교육인적자원부는 '사후약방문'식 반응만 내놓고 있다.
교육부는 향후 수능시험에 대비,무선기기 등을 이용한 부정행위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도록 종합대책을 마련하기로 하고 몸수색이나 감독관 추가 배치,전자검색대 또는 전파차단기 설치,문제지 유형 확대 등 가능한 모든 방법을 검토한다는 입장만 밝힌 상태다.
하지만 교육부의 대책은 '검토'에서 '실행'으로 옮겨지기까지 적지 않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몸수색은 인권침해 소지가 있는 데다 비교육적이라는 지적이 나올 수 있고 기지국 폐쇄는 인근 주민들의 불편이 뒤따른다.
감독관 추가 배치나 전자검색대 설치 등은 엄청난 비용이 소요되는 일이며 문제 유형의 확대 역시 학생들의 혼란을 부추길 수 있다는 점에서 만만치 않은 반발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더욱 큰 문제는 이같은 대책이 서는 내년 입시에는 휴대폰 문자메시지가 아닌 다른 커닝수단이 나올 수 있다는 데 있다.
한 정보통신업계 전문가는 "이번 사건의 경우 문자메시지라는 '원시적인 방법'이 동원됐지만 유비쿼터스 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어 휴대폰 이외의 새로운 방식을 이용한 커닝 방식이 나올 수 있다"고 경고한 후 "미래의 기술발전까지를 염두에 두고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고 주문했다.
원천적으로 커닝을 막는 방법을 생각해 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근본적으로 이같은 인식이 싹틀 수 있는 사회문화를 먼저 바꿔야 한다고 충고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는 사회 의식을 우리가 방조한 것이 이같은 문제로 불거지는 것 아니냐.이는 범죄를 저지른 학생들뿐 아니라 사회 전체가 반성해야 하는 문제다."
경기도 백영고등학교의 한 교사의 이같은 충고를 교육부는 더 귀담아 들어야 할 듯 하다.
송형석 사회부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