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은 21일 고위 당·정·청 회의를 열어 국민연금의 독립성 제고를 위해 현재 복지부 산하로 돼 있는 국민연금운영위원회를 독립기구 형태로 분리시키기로 했다. 또 이 독립운영위원회 위원의 60% 이상을 민간위원으로 선임하고 연기금 운용원칙을 종전의 안정성 중심에서 수익성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열린우리당 박영선 원내대변인은 이날 회의가 끝난 뒤 브리핑을 통해 "기금관리운영위를 총리실이나 재경부,복지부 산하에 두지않고 독립적인 별도의 운영기구로 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이렇게 되면 국민연금 운용이 사실상 정부의 통제를 받지 않게 된다고 박 대변인은 설명했다. 이와 관련,이목희 제5정조위원장은 "국민연금 기금운영위의 위원장을 현재의 복지부 장관에서 민간인으로 바꾸고 위원 13명 중 8명을 민간인으로 선임해 독립적으로 운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나머지 연기금도 필요하다면 이와 비슷한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정부부처로부터 독립적으로 설립될 운영위원회를 자산투자회사 형식으로 할지,단순 위원회 형식으로 할지는 이견을 해소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변인은 "독립성 제고방안의 원칙에 대해서는 논의가 이뤄졌으나 아직 확정되지는 않은 상태"라고 말해 부처간 이견이 있음을 시사했다. 당·정·청은 또 그동안 논란이 되어왔던 연기금의 종합투자 활용정책은 당초 방침대로 추진키로 재확인했다. 연기금의 주무장관인 김근태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이유를 밝히지 않은 채 회의에 불참,여권 내 갈등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낳았다. 이헌재 경제부총리도 회의에 참석하지 않았다. 당·정·청은 정기국회에 계류 중인 민생경제 법안과 내년도 예산안을 원활히 처리하기 위해 정부와 여야 정당이 참여하는 '원탁회의'를 개최할 것을 제안했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이에 응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재창 기자 lee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