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부정] 경찰.교육청.학교 '네탓' 공방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휴대폰 수능 부정행위 수사 결과,사전에 부정행위를 막을 수 있었다는 여론이 강하게 일면서 경찰과 광주시교육청,해당학교 등 관련 기관들이 서로 책임 전가에 급급하고 있는 모습이다.
우선 경찰은 수능 당일인 17일 오전 9시40분께 시교육청 장학사에게 이를 알리고 수사협조를 요청했으나 결국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했다며 시교육청 측의 반대로 수사가 이뤄지지 못했음을 내비쳤다.
경찰 관계자는 "만일 부정행위가 실제 이뤄지지 않았는데 고사장에서 학생들에 대한 조사 때문에 시험을 망쳤다는 말이 나오면 그 책임은 우리가 감당할 수 없다"며 "교육청이 반발해 수능 당일 조사가 이뤄지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광주교육청은 경찰에 협조를 요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경찰과는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교육청 관계자는 "경찰에 제보된 학생들의 명단을 요구했으나 경찰이 수사 중이라는 이유로 교육청에 넘기지 않았다"며 "어떤 학생이 부정행위에 가담했는지 모르는 상황에서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힘들었다"고 반박했다.
이와 함께 일선 학교가 수능 부정행위를 미리 알고 있었다는 '사전인지설'이 나돌면서 해당 학교 교사들에 대한 책임론도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특히 가담자가 많은 학교에서는 학생들 사이에 소문이 파다하게 퍼져 있었고,교사들도 충분히 파악했었을 것이라는 정황이 드러나고 있지만 해당학교에서는 부인하고 있다.
이 학교 관계자는 "수능전에 학생들에게 부정행위를 하지 말라고 당부하는 것은 당연한 것 아니냐"며 "경찰이나 교육청이 학생명단을 미리 통보했으면 최소한 시험장에서라도 휴대폰을 압수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최성국 기자 skcho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