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의 소득에 비해 세금 연금 차입이자 등 비(非)소비 지출이 더 빠른 속도로 늘어나 소비 회복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경기불황이 지속되면서 고소득층과 저소득층간 격차가 더욱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가계수지 동향'에 따르면 올 3·4분기(7∼9월) 중 전국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7.3% 늘어난 2백88만7천5백원을 기록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감안한 전국 가구의 실질소득은 2백49만7천9백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2.8% 늘었다. 그러나 가구당 소비지출 증가율은 5.7%를 기록,소득 증가율(7.3%)에 비해 1.6%포인트 낮아 벌이에 비해 씀씀이 증가폭이 크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질 소비지출도 1.3% 늘어나는 데 그쳐 실질 소득증가율(2.8%)의 절반을 밑돌았다. 이는 가계지출 가운데 세금 연금 이자 등 비소비지출이 큰 폭으로 늘어 소비지출이 상대적으로 위축됐기 때문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실제로 3·4분기 중 비소비지출은 전년동기 대비 13.6% 늘어 가계지출 증가율(6.8%)의 두 배에 달했다. 항목별로는 조세가 11.9% 늘었고 차입금이자 부담금 등 기타 비소비지출이 21.1%나 급증했다. 한편 소득계층별(5분위)로는 상위 20%의 고소득층 평균 소득이 전년동기 대비 9.4% 늘어난 반면 하위 20∼40%(차상위)의 소득은 4.5% 증가에 그치는 등 소득이 높은 계층일수록 상대적으로 소득 증가율이 높았다. 이로 인해 상위 20%와 하위 20%간 소득 격차는 7.3배로 전분기(6.83배)보다 더 벌어졌다. 안재석 기자 yag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