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은 5일 컴퓨터, 정보산업 등을 중심으로 한 개발도상국으로부터의 아웃소싱이 실제로는 선진국의 고용을 확대시키고 효율성을 증대시킨다고 주장했다. IMF는 계간 `재정과 발전' 최신호에 게재한 연구보고서를 통해 선진국의 해외아웃소싱 확대에 따른 일자리 감소 우려에 대해 아웃소싱이 일자리를 감소시킨다는가정은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IMF는 보고서에서 "순증 측면에서 아웃소싱 때문에 일자리가 선진국에서 개도국으로 수출되는 것은 아니다"면서 "한 산업의 일자리 감소는 다른 성장 산업의 일자리 창출로 상쇄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IMF는 아웃소싱이 일부 일자리 감소로 이어진다 하더라도 효율성 증대로 인해 더 높은 생산성을 낳고 다른 산업의 고용 증대로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IMF는 "예를 들어 한 회사가 정보기술 서비스의 수입으로 일부 일자리를 없앨수 있겠지만 그것 때문에 회사의 효율성이 증대돼 연구개발 부문 확대를 결정할 수있고, 이 때문에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게 된다"고 지적했다. 이번 연구는 IMF의 통상부문 연구 책임자인 상진웨이와 메리 아미티가 수행했다. (워싱턴 AFP=연합뉴스) j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