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동당 노회찬(魯會燦) 의원은 자신이 주한미군의 역할 확대 등과 관련한 기밀을 잇따라 공개한 데 대해 미국 정부측이 우려를표명한 것으로 알려지자, 이 같은 미국측의 해석을 조목조목 반박하고 나섰다. 노 의원은 6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미국측이 한미동맹협상 관련문서 공개가`한미상호방위조약 위반일 수 있다'는 우려를 표했다고 들었는데, 내가 보기엔 오히려 미국이 한미상호방위조약을 어기고 있다"고 주장했다. 노 의원은 "`지역역할'은 주한 미군을 한반도 이외 지역에도 투입하려는 것이지만, 한미상호방위조약 개정없이 미군 역할을 변경하겠다는 것은 조약 위반이기 때문"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이어 "미국은 구 소련 붕괴 이후 안보상황이 달라지자 주한 미군을 지역기동군으로 전환하기 위해 미래한미동맹정책구상회의(FOTA)를 통해 한미상호방위조약을 고치기로 마음먹었다"며 "이렇게 되면 한국군도 미국 요구에 따라 다른 지역에투입돼야 하므로, 한국민의 반발을 의식해 사실을 숨긴 채 일을 진행하고 있다"고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따라서 내가 하는 일은 폭로가 아니라 정부가 중대한 국가조약의 변경에 앞서 법에 따라 국민의 동의를 얻으라는 정당한 요구"라고 강조했다. 노 의원은 또한 미국측이 자신의 잇따른 `폭로'를 한국정부 내 일부 반대세력과조직적으로 연계된 것으로 보는 데 대해 "정부 내에 이런 일을 막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 사람들이 나랑 조직적으로 연결돼 있다는것은 사실이 아니다"고 부정했다. 노 의원은 그러나 "미국이 이런 시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우리 정부 내에서어떤 사람이 반발하고 있는 지까지 모두 계산해서 일을 진행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노 의원은 이어 "외적으로는 내가 정부를 공격하는 것처럼 보이겠지만 이런 점에서 사실은 서포트(지원)하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이승우기자 lesli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