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은 7일 여당의 국가보안법 폐지안이전날 국회 법사위에서 적법 절차를 거쳐 상정된 점을 강조하면서 그 의미를 부각시키려는 데 주력했다. 우리당 일각에선 변칙 상정에 대한 반감도 표출됐으나, 일단 당의 정체성과 연관된 국보법 폐지안의 상정이 당의 결속과 지지층 재결집 효과를 낳을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국보법 완전폐지론자인 임종인(林鍾仁) 의원은 의원총회에서 "친일.민족분단.반민주독재 세력을 한편으로 하고 독립운동.민족통일.민주인권 세력의 적자임을 그대로 드러낸 쾌거"라고 자평했다. 천정배(千正培) 원내대표부터 그간 국보법 폐지안을 둘러싼 여권내 `개혁후퇴'시각에 대한 부담을 덜은 듯 홀가분한 표정이었다. 천 원내대표는 이날 기획자문위원회에서 국보법 폐지안 상정에 대해 "매우 역사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며 "이것은 발의된 법안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것이자 국회차원의 공식적인 논의가 시작됐다는 뜻"이라고 각별한 의미를 부여했다. 당내 일각에선 특히 안건 상정 자체가 지닌 정치적 의미도 부각시켰다. 원내 관계자는 "발의안건과 상정안건은 비중 자체가 다르다"며 "국보법 폐지안이 단순한 발의 상태에서 상정 상태로 진전됐기 때문에 국회의장의 직권상정의 길도열린 것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일부에서 제기한 상정안건의 `효력 지속' 논란에 대해서도 핵심 당직자들이 나서 반박하는 등 적극 대응했다. 이부영(李富榮) 의장은 "상정행위의 효력을 따지는 것은 정치적 삐라 행위에 불과하다"고 일축했다. 기획자문위에서도 김원기(金元基) 국회의장이 전날 법사위 격돌 직후 `국보법공방'을 중단하라고 촉구한 데 대한 불만이 나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지도부는 다만 `변칙 상정' 논란에 따른 여론악화 및 당내 중도.보수성향 의원들의 반감을 의식한 듯 한나라당에 대국민토론회 등 대화를 제의하는 등 자세를 낮추면서 여론동향 추이를 주시키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의원총회에서 안개모 소속의 안영근(安泳根) 의원은 국보법 폐지안 상정 시도를4년전 민주당 원내부총무였던 천 원내대표가 자민련을 위한 교섭단체 요건 완화안건을 변칙 처리한 것에 빗대어 "4년 전 어제와 똑같은 식으로 날치기 통과시켰으나 국회파행으로 아무런 결과를 얻지 못했다"며 "국민적 동의 없이 우리끼리 날치기 상정을 자축하는 것은 용납 안된다"고 말했다. 안 의원은 특히 천 대표에 대해 "지금까지 진행된 4대 입법 과정에 대해 잘못된것을 인정해야 한다"며 정기국회 종료 직후 사퇴를 촉구했으며, 이 과정에서 우원식(禹元植) 의원이 "안영근, 한나라당으로 가라"고 발끈하는 등 소란이 빚어졌다. (서울=연합뉴스) 김재현 기자 jah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