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2006.04.02 14:52
수정2006.04.02 14:55
올 10월 인사에서 준장으로 진급한 52명의 육군진급자 대부분은 진급 심사 전부터 육군본부 실무장교가 작성한 문건에 이름이 특정부호(◆)로 표시된 채 특별 관리돼온 사실이 추가로 밝혀졌다.
군 검찰 관계자는 7일 "육군본부 실무장교가 3월부터 작성한 '임관부문별 유력경쟁자 현황' 문건에 7∼9월부터 준장 진급정원 52명 중 50명의 진급대상자가 동그라미(◆)로 표시되기 시작했으며 이들이 전부 실제 장성으로 진급됐다"고 밝혔다. 이 같은 사실은 10월5일 본격적인 심사에 들어가기 전 장성진급 대상자들이 내정됐고 이들이 그대로 진급했다는 의혹이 사라지지 않고 있어 군 검찰의 수사결과가 주목된다.
군 검찰 관계자는 진급심사 이틀 전인 10월3일 기무사 추천 몫 2명을 포함해 준장 진급정원 52명의 명단이 정해졌고,심사 당일인 5일 오전에 이 명단에서 단지 2명만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즉 10월5일 육군이 작성한 52명의 명단과 장성인사 심사기구인 갑ㆍ을ㆍ병 선발위원회 및 선발심의위원회 심사,국방부 제청심사를 거쳐 청와대에 올린 52명의 명단이 일치한다는 것이다.
군 검찰은 특히 심사 당일인 10월5일 등장한 2명 중 한 명은 당초 2∼3배수의 명단에 없었던 인물이라며 갑작스런 명단변경에도 강한 의혹을 두고 있다. 또 육군 인사검증위사 1천1백51명에 대한 인사기록 검증작업을 9월23일 하루 만에 끝낸 것도 의혹이 일고 있다. 그러나 육군본부 인사참모본부 차모 중령은 "임관 부문별 공석(티오)을 판단하기 위해 개인적으로 매년 이 같은 '유력후보' 명단을 작성해왔지만 선발위원회 등 공식 인사기구에 이를 넘기지는 않았다"고 해명했다.
김수찬 기자 ksc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