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종합투자계획을 발동하고 내년 예산을 7천억∼8천억원 증액키로 한 데 이어 한국은행에 금리 추가인하 필요성을 제기하는 등 재정과 금융 양쪽에서 경기부양책을 총동원하고 나섰다. 프랑스를 방문 중인 노무현 대통령은 7일 파리에서 프랑스경제인연합회 주최 조찬간담회에 참석,"한국 정부는 적극적이고 유연한 재정·통화정책을 운용해서 경기 둔화에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헌재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도 이날 블룸버그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경기 활성화를 위해 정부와 통화당국이 좀더 확장적인 정책을 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과 이 부총리의 이같은 언급은 한국은행에 대해 9일 열릴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를 더 내리도록 촉구한 것으로 시장에서는 받아들이고 있다. 이같은 분위기를 반영,이날 서울 채권시장에서 지표금리인 국고채 3년물 수익률은 연 3.24%를 기록,전날보다 0.04%포인트 떨어지면서 하루짜리 콜금리 목표치(연 3.25%) 밑으로 급락했다. 이에 앞서 정부와 열린우리당은 일반회계 기준 1백31조5천억원 규모로 편성된 내년 정부 예산안을 7천억∼8천억원 정도 늘리고 내년 하반기 중 모자라는 건설 수요를 보완하기 위한 10조원 규모의 종합투자계획을 시행키로 하는 등 경기부양을 위한 재정정책 총동원에 나선 상태다. 또 이해찬 국무총리는 이날 국무회의에서 "내수 진작을 위해 내년 상반기 재정 조기집행 수립계획이 시급하므로 기획예산처 등 관련 부처는 철저히 준비하라"고 지시했다. 정부가 이처럼 전방위 경기부양 수단을 동원키로 한 것은 최근 내수가 예상보다 더 빠른 속도로 가라앉고 있어 내년 '5% 성장' 달성 가능성이 매우 희박해졌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파리=허원순·차병석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