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세계 40개국 만 15세 학생(고1)의 학업 성취도를 평가한 결과 한국 학생이 △문제 해결능력 1위 △읽기 2위 △수학 3위 △과학 4위에 올랐다. 그러나 수학에 대한 흥미도는 매우 낮고 남·여학생 간 점수 격차는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최상위권 학생들의 경쟁력은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문제해결 능력이란 낯선 상황에 처했을 때 그것을 인지 과정을 통해 해결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그동안 주입식·암기식 교육 때문에 한국 학생들의 창의력이 부족하다는 지적과 달리 문제해결력에서 세계 1위를 차지,의외라는 반응도 있다. OECD는 30개 회원국과 11개 비회원국의 만 15세 학생 28만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6월 4개부문의 학업 성취도 평가를 실시,분석한 학업 성취도 국제비교(PISA) 결과 보고서(이하 PISA 2003)를 7일 전 세계에 동시 발표했다. 응답률이 낮았던 영국은 집계에서 제외됐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백51개 고교,5천6백12명이 참여했다. 한국 학생은 처음으로 평가부문에 포함된 문제 해결력 영역에서 평균 5백50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읽기에서는 5백34점으로 핀란드(5백43점)에 이어 2위를 차지,2000년 실시됐던 PISA 2000(6위) 때보다 4계단 뛰어올랐다. 반면 수학과 과학영역은 PISA 2000보다 오히려 순위가 각각 떨어졌다. 성취도 상위 5%의 최상위권 학생만을 따로 떼어내 국가별로 분석한 결과 한국 학생들은 읽기영역에서 2000년 20위→지난해 7위로 높아졌고 △수학 5→3위 △과학 5→2위로 올랐으며 문제 해결력은 3위를 차지했다. 읽기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남학생의 성취도가 여학생보다 높았다. 특히 남·여학생 간 성취도 격차 순위는 문제 해결능력 영역에서 40개국 중 3위였다. ◆PISA란=각국이 교육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2000년 시작됐다. 국가 의무교육이 끝나는 만 15세 학생을 대상으로 3년마다 조사한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