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신항 UAE로 .. 한국 항만시장은 외국계 각축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부산신항만 운영권이 아랍에미리트 두바이항만공사(DPI)로 넘어감으로써 한국 항만시장이 외국계의 각축장으로 변했다.
외환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국내 해운회사 등이 항만운영권을 해외에 매각한 이후 국내 기업들은 국내항만시장 경쟁에서 사실상 배제되고 자본과 경영능력에서 앞선 외국계 항만회사들끼리 시장쟁탈전을 벌이는 양상이다.
홍콩 싱가포르 미국 등이 이미 진출한 상황에서 이번에 오일 머니를 앞세운 중동회사까지 가세한데 이어 일본물류회사들까지 한국 진출에 관심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업계 전문가들은 "동북아 항만은 세계적인 호황시장인데 국내 업체들은 투자여력이 없어 경쟁에 뛰어들 엄두도 못내는 현실이 안타깝다"면서 "그나마 1개 외국기업이 독점하는 것보다는 아랍계까지 들어오는 등 여러 외국회사의 각축장이 되는 것이 독점의 횡포를 막을 수 있다는 점에서 다행"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부산항은 외국계 독무대
부산신항만㈜의 최대주주인 미국 CSX월드터미널(CSXWT)이 철도물류사업에 집중하기위해 지분 25%를 팔기로하자 세계 항만업계 큰 손들의 눈이 일제히 부산으로 쏠렸다.
부산신항은 2011년까지 30선석을 갖추게 되는 최신항만인데다 중국과 미국 유럽을 잇는 환태평양 중심지에 위치하고 있어 '동북아 허브항'으로 투자매력이 크기 때문이다.
이때문에 세계 양대 항만운영회사인 홍콩의 허치슨사와 싱가포르의 PSA(싱가포르항만공사)가 CSX 지분인수전에 뛰어들었고 홍콩의 차이나 머천홀딩스 인터내셔널사와 MTL사 등도 관심을 표시했다.
하지만 부산신항의 최종인수자는 뒤늦게 뛰어든 아랍에미리트의 두바이항만공사로 선정됐다.
두바이항만공사는 CSX지분을 당초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10억달러에 부산신항 운영권을 확보했다.
두바이의 진출에 가장 민감한 회사는 홍콩의 허치슨.이번 부산신항 인수에 실패했지만 부산에 확고한 거점을 확보하고 있다.
현재 부산항 총 21개 선석 중 6개선석(자성부두 5개,감만부두 1개)을 운영,부산항 컨테이너 화물의 20%정도를 처리하고 있다.
이외에도 광양항 일대 터미널(4개선석)을 운영 중이며 국내항만 터미널에서 가장 높은 시장점유율(25%)을 확보하고 있다.
◆홍콩 허치슨의 재도전 관심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두바이가 매입한 CSX 자산 중 아시아 자산 일부를 허치슨에 재매각할지도 모른다"고 보도했다.
만약 두바이가 부산신항 운영권을 허치슨에 넘길 경우 국내 항만의 40% 이상을 운영하는 최대 항만운영선사로 올라서게 된다.
허치슨에 강력히 대응할 회사도 외국계인 PSA.이 회사는 올해 7월 개장한 인천항 컨테이너터미널의 최대 주주로 국내에 진출한 이후 국내 항만시장을 계속 확장할 것으로 알려졌다.
PSA는 현재 인천 컨테이너 전용부두에서 1개 선석을 운영 중이며 내년부터 2개 선석을 추가 착공,2009년까지 3개 선석으로 연간 컨테이너 90만여개를 처리할 예정이다.
부산=김태현·송형석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