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신기술 인증 제도를 통합하는 작업에 본격 나서면서 일부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특히 제도의 명칭 변경이나 기존 제도와의 연계성 등 일부에 대해서는 보다 신중한 검토가 이뤄져야 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새로운 인증 제도의 효율성을 최대한 높이면서도 기존 제도의 장점은 살릴 수 있는 방안을 지금부터라도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KT가 손해다(?)=통합 대상이 되는 기술 인증들 가운데 가장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는 단연 국산 신기술 인정인 KT마크다. 가장 먼저 생긴 제도인 데다 가장 많은 인정 기술을 배출했으며,산업계나 국민들에게 국내 대표적인 신기술 인정 브랜드로 통할 만큼 높은 인지도를 자랑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각 브랜드를 통합할 경우 KT마크는 10여년간 쌓아온 브랜드 가치를 고스란히 잃을 수밖에 없다"며 "기술 인증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브랜드가치라는 점에서 큰 손실을 입는 셈"이라고 털어놓았다. 산업계 일부에서는 이에 따라 브랜드 통합 후에도 기존 인정 기술에 대해선 KT마크 명칭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새로운 제도 명칭을 아예 'KT'로 하는 방안 등을 제안하고 있다. ◆명칭이 좋아야=브랜드 네이밍에 있어 빠뜨릴 수 없는 게 발음과 약자다. 새로 도입할 인증 제도는 기술과 상품으로 구분해 NET와 NEP로 나뉜다. 이 명칭들은 중간의 모음을 포함,각각 영문자 3개로 돼 있다. 따라서 '넷'이나 '넵'으로 발음될 경우 어감이 좋고,형태적으로도 '새롭다'는 뜻의 'NEW'를 연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신기술 브랜드로서의 강하고 명료한 이미지로는 발음이나 형태 측면에서 기존 KT NT 등에 비해 떨어진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일부에서는 NET·NEP보다는 오히려 NT·NP 혹은 KT·KP 등으로 단순화하는 게 좋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분야별 차별화=기존 KT,NT,IT,ET 등은 각기 신기술 신제품 정보통신 환경 등 특화된 이미지를 구축해 왔다. 그러나 새롭게 바뀌는 제도 아래서는 단순히 기술과 상품이라는 것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기존 제도들이 가진 각각의 전문성이 새로운 제도 아래에서도 발휘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NET·NEP 등 제도별로 기술이나 상품 분야를 세분화해 관리하는 방안 등이 제안되고 있다. 장원락 기자 wr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