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대통령 선거인단 투표가 13일 실시된 가운데 오하이오주 대법원에 대선투표 결과를 재검토해 달라는 소송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지난 2000년 대통령 선거처럼 이번 대선도 주(州) 대법원 소송까지가는 기록을 남기게 됐다. 지난 11월2일 실시된 미국 대통령 선거의 승패를 가른 오하이오주에서 공화당측에 의한 투표부정 의혹을 주장하는 단체들은 13일 주 대법원에 대선투표의 결과를재검토해 달라고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그러나 오하이오주의 선거인단 20명은 이날 주 의사당에서 예정대로 공화당의조지 부시 대통령과 딕 체니 부통령에게 만장일치로 투표했다. 미국내 다른 주들도 이날 선거인단 투표를 실시했다. 선거인단 투표는 형식상실시되는 것으로 각 주별로 지난 11월2일 선거에서 승리한 후보에게 그 주의 선거인단이 모두 투표하게 돼 있다. 선거인단 투표 결과는 내년 1월초 의회가 집계 발표한다.그러나 각 주의 선거인단이 그 주의 투표에서 승리한 후보에게 투표하게 돼 있기 때문에 선거인단 투표는 별 의미가 없다. 이미 대선에서 승리한 조지 부시 대통령은 내년 1월20일 취임식을 갖는다. 밥 태프트 오하이오 주지사는 이날 주 상원에서 선거인단 투표를 지켜본 뒤 이소송과 관련 "국민의 엄청난 대다수는 이 선거가 이미 끝났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말했다. 이날 소송을 제기한 사람들은 부시 대통령이 과연 11만9천표 차이로 이겼는 지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선거인단 투표를 중지시키라는 명령을 내릴 것을 대법원에 촉구했으나 선거인단 투표는 예정대로 실시됐다. 이들은 또 구체적인 증거를 대지 않은 채 민주당의 존 케리-존 에드워즈 후보에던진 13만656표가 공화당의 조지 부시-딕 체니 후보의 표로 집계됐다고 주장했다. 또 투표소에서 투표한 사람들중 일부는 케리에게 투표했으나 이 표가 투표기계의 스크린에서 부시표로 돌변하는 것을 봤다고 이들은 주장하고 있다. 만일 주 대법원이 이 소송을 심리하기로 결정하면 대법원은 심리 결과에 따라기존의 결과를 번복하고 새로운 승자를 선언할 수 있다. 민주당의 제시 잭슨 목사와 매사추세츠주에 있는 `민주주의동맹'이라는 시민단체의 변호사 클리프 아테벡은 부시의 선거운동이 "첨단 기술을 이용한 투표 도둑질"이었다고 주장했다. 잭슨 목사에 따르면 소송을 제기한 사람들은 부시 대통령이 일반적으로 광(光)스캔을 이용한 투표기계가 설치된 카운티들에서 더 많은 투표를 얻었다면서 그 기계들이 사전에 부시에게 유리한 결과가 나오도록 조정됐는지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민주당 성향의 선거구에 투표기계가 너무 적었으며 ▲투표자들을다른 투표소로 유도하려는 조직적인 운동이 있었고 ▲투표소에서 유권자 명부에 이름이 없는 투표자들의 잠정 투표를 집계하는데 혼란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한편 민주당 대선 후보였던 존 케리(매사추세츠) 상원의원은 지난주 발표한 성명에서 투표상의 문제에 대한 보도들은 미래의 선거에서 또다시 의심이 남지 않도록조사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의 선거팀은 부시가 선거에서 승리했다는데는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 (워싱턴=연합뉴스) 김대영 특파원 kd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