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종금업무' 눈독 ‥ 여수신 가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증권사들이 종합금융회사들이 취급해온 '종금업무'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종금업무는 외환위기 이후 부실금융의 대명사로 간주돼 애물단지 취급을 받았지만 최근 짭짤한 수익원으로 변신했기 때문이다.
여·수신이 모두 가능한 게 첫번째 이유다.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종합자산관리계좌(CMA)도 종금사의 간판 수신상품인 어음관리계좌를 변형한 것이다.
거래대금이 급감한 올 상반기(4∼9월) 중 종금업무에 강한 동양종금증권(4백87억원)과 LG투자증권(4백63억원)의 순이익이 각각 증권업계 1,3위에 오른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종금업무는 증권사 중 과거 종금사와 합병한 동양종금증권과 LG투자증권에 각각 2008년 11월과 2006년 10월까지 한시적으로 허용되고 있다.
종금업무는 기업금융(IB) 업무를 추진하는 데도 유리하다.
최용구 증권업협회 증권산업팀장은 "증권사들이 단기적으로 자본금을 늘리기 힘든 상황에서 고객 돈을 받아 기업에 대출하는 방식으로 IB를 키울 수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동양종금증권은 부실 자회사인 동양오리온투자증권을 공적자금 투입 없이 독자 회생시키는 대신 종금업무의 배타적 연장을 금융감독위원회에 요구하고 있다.
동양종금증권 관계자는 "동투증권에 1천3백억원 이상을 쏟기로 한만큼 결코 무리한 요구는 아니다"고 주장했다.
LG증권도 겸업기간의 연장을 서두르고 있다.
LG증권 관계자는 "내년 초 우리증권과의 합병작업이 일단락되면 곧바로 금감위와 종금업 연장 문제를 협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