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림 재정경제부 차관은 17일 "내년에 출범하는 통합거래소의 본부장 5명 중 절반 정도를 민간에서 선임할 것"이라고 밝혔다. 통합거래소(한국증권선물거래소) 설립추진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 차관은 이날 출입 기자들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기본적으로 시장과 관련된 본부장은 시장 쪽에서 인물을 찾고 나머지 감독이나 경영부문 본부장에는 관료 출신을 선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말해 관료 출신 인사 선임을 공식화했다. 그는 또 "이영탁 초대 이사장 내정자와 함께 본부장 선임 등을 논의하고 있다"며 "늦어도 올 연말까지는 본부장을 확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차관이 이날 통합거래소 본부장 인선 기준을 공식화함에 따라 본부장 선정 작업에도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통합거래소는 유가증권시장사업본부(현 증권거래소), 코스닥시장사업본부(현 코스닥시장), 선물시장사업본부(현 선물거래소), 경영지원본부, 시장감시위원회 등 5개 본부로 구성된다. 본부장은 사장급이다. 업계에선 이미 유력 후보들의 하마평이 나돌고 있다. 우선 감독 업무와 관련 있는 시장감시위원장 자리는 금융감독위원회나 금융감독원 출신 몫이라는 관측이 강하다. 금감원 부원장보를 지낸 유흥수씨와 내년에 임기가 돌아오는 이영호 부원장보가 거론되고 있다. 시장감시위원장이 통합거래소의 사실상 2인자라는 점에서 금감위 고위 인사의 이름도 나도는 중이다. 통합거래소의 예산 조직 등을 관장하는 요직인 경영지원본부장에는 증권업협회 윤종화 부회장이 얘기되고 있다. 윤 부회장은 통합거래소 이사장 내정자 확정 이전부터 하마평에 올랐다. 코스닥증권시장의 박상조 전무는 본인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본부장 후보 리스트에 오르고 있다. 증권거래소 출신인 남영태 경영고문과 옥치장 전 고문은 민간케이스 본부장 후보 1순위로 꼽히고 있다. 남 고문은 유가증권시장사업본부장,부산상고 출신인 옥 전 고문은 부산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선물시장사업본의 본부장을 맡을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코스닥시장본부장에는 허노중 코스닥위원장이 거명되는 상황이다. 그동안 코스닥업체 등록·퇴출 등 시장관리 업무를 해온 노하우가 있고 경남 출신이라는 점이 긍정적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그러나 후보 인물 중에는 재경부 출신이 많다는 점이 변수다. 자칫 재경부 출신 '자리 만들기'라는 비판이 제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부산지역에서 지역 이해를 적극 반영할 수 있는 인물의 선임을 요구하고 있는 것도 인선에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김성택·박준동 기자 idnt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