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화 유예를 위한 쌀협상 최종 타결이 종료시한인 올해를 넘길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연말까지 10여일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주요 협상대상국인 미국 중국 태국 등과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한데다 수입쌀의 국가별 배정에서 제외된 인도 등도 자국 쌀을 수입해줄 것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19일 정부 관계자는 "인도 파키스탄 이집트 캐나다 아르헨티나 등 현재까지 한국에 쌀 수출 실적이 없는 국가들이 일정물량의 쌀 수출을 보장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어 이번주 중 의견 조율을 위해 추가 협상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관세화 유예를 연장하는 조건으로 쌀 수입물량을 1988∼90년 소비량 기준으로 2004년 현재 4%에서 2014년 8%로 늘려주기로 했다. 수입 확대 방식은 올해 수입물량 4%를 한국에 쌀을 수출한 적이 있는 중국 미국 태국 호주 등 4개국에 전량 배정하고 내년 이후 추가 수입물량에 대해선 국제입찰을 통해 들여온다는 방침이다. 이에 대해 인도 등 일부 국가들은 한국 정부 입장과는 달리 자국산 쌀 수입물량을 어느 정도 확정해 달라고 요청한 상태다. 한편 정부는 미국 등과 8%로 예정돼 있는 수입 확대 수준을 낮추는 협상에 나서기로 했다. 허상만 농림부 장관은 지난 16일 미국 워싱턴에서 앤 배너민 미국 농무부 장관을 만난 직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7%대 중반까지 낮추기 위해 추가협상을 갖는 등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