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정책기획수석을 경제정책수석으로 명칭을 바꿔 참여정부 출범과 함께 폐지했던 경제수석을 사실상 부활시키기로 한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 그동안 드러난 경제정책 결정 과정의 난맥상과 유례없는 불황을 겪고 있는 어려운 경제현실을 감안하면 오히려 때늦은 느낌조차 없지 않다. 경제수석 부활은 우선 국정운영의 우선순위를 경제회복에 두겠다는 노무현 대통령의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싶다. 집권 3년차를 맞아 경제활성화에 올인하겠다는 원칙을 확고히 세웠다는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배경설명이고 보면 그런 측면에서 경제수석의 부활을 이해해도 무리가 없을 것 같다. 또 그동안 청와대와 여당 및 정부 사이에서 중구난방식으로 터져나오던 경제정책에 대한 이견들을 조율할 수 있는 컨트롤 타워가 마련됐다는 점도 기대를 걸게 하는 대목이다. 현재 경제 분야는 이헌재 부총리가 수장 역할을 하고 있지만 1가구 3주택 중과세 문제,성장론과 분배론의 대립 같은 사례가 상징적으로 보여주듯 한 때 정책혼선이 많았던 것도 사실이다. 때문에 정책의 일관성이 결여되고 국민들의 정책불신도 그만큼 높을 수밖에 없었던 만큼 이를 합리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그러나 과연 경제수석의 신설로 기대한 만큼의 효과를 거둘지는 솔직히 의문이다. 경제정책과 관련해 청와대내에만도 경제수석외에 정책기획위원장 정책실장 경제보좌관도 제각각의 역할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정책현안의 조율은 국무총리 국무조정실이 맡게 된다고 한다. 물론 경제수석은 중장기 정책을,국무조정실은 당면 현안을 조율한다고는 하지만 업무의 중복과 혼선이 야기될 소지는 여전하다고 본다. 경제수석의 신설로 그같은 혼선을 피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관계당사자들의 역할과 기능이 보다 명확히 구별돼야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경제팀의 수장인 경제부총리와의 협조체제 강화다. 사실 경제정책은 경제부총리가 책임지고 수행해야 마땅하다. 경제수석은 국정최고 책임자인 대통령의 국정철학과 방법을 중장기 과제중심으로 경제정책에 반영시키는 노력을 기울이고 그러한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경제수석의 역할과 기능은 매우 막중하다. 경제수석의 신설로 정책혼선을 해소하면서 경제살리기로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