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신행정수도 후속대책 및 지역균형발전 특별위원회는 27일 국회에서 2차 전체회의를 열어 정부로부터 신행정수도 대안을 보고받았으나 대안검증보다는 특위운영 방식 등을 놓고 여야간 신경전이 벌어졌다. 정부는 특위보고에서 ▲청와대를 제외한 전 중앙부처가 이전하는 `행정특별시'안 ▲청와대.외교안보부처를 제외한 대부분의 중앙부처가 옮겨가는 `행정중심도시'안 ▲교육.과학기술 부처만 이전하는 `교육과학연구도시'안 등 3개안을 보고했다. 이 같은 내용의 정부 보고에 대해 열린우리당 의원들은 대체로 수긍하는 모습을보였지만 한나라당 의원들은 정부 보고서가 향후 논란의 소지를 담고 있다며 수정,보완을 요구하는 등 견해차를 드러냈다. 열린우리당 박상돈(朴商敦) 의원은 "정부가 교육.과학도시에 대해서는 썩 좋은대안으로 제시하지 않은 것 같다"며 "실제로 교육.과학도시는 충청권에 도시 하나를더 만드는 것에 그치는 만큼 대안으로는 현실성이 없어 보인다"고 평가했다. 반면 한나라당 최경환(崔炅煥) 의원은 "정부가 대안의 하나로 제시한 행정특별시는 헌법재판소 위헌결정에 비춰보면 여러 논란이 있을 수 있다"며 "정부가 이를두고 문제가 없다는 식으로 판단하는 것은 다시 논란의 소지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여야 의원들은 그러나 정부 대안에 대한 구체적 검토와 평가보다는 특위의 향후일정 및 활동방향 등을 놓고 서로 당리당략적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며 입씨름을벌이는데 오히려 많은 시간을 사용했다. 열린우리당 노영민(盧英敏) 의원은 "신행정수도 후속대안 및 관련 법안을 내년2월까지 마무리한다는데 여야가 이미 합의했다"며 "이 같은 특위의 향후 일정에 대해 한나라당이 음모라고 지적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했다. 반면 한나라당 홍문표(洪文杓) 의원은 "열린우리당이 최근 전략회의를 열고 한나라당이 행정수도 대안으로 교육.과학 도시안을 제시하면 충청권 의원을 중심으로들고 일어서 압박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우리당은 교육.과학도시안이 한나라당 당론인 것처럼 왜곡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윤섭기자 jamin74@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