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회복으로 올 한해는 보다 많은 일자리가 생겨 청년실업자들에게 일할 기회가 주어졌으면 합니다." 40대 중반의 '늦깎이 신입사원'인 근로복지공단 포항지사 보상부 류종춘씨(45)의 새해 소망이다. 류씨는 지난해 고졸학력과 44세의 나이라는 '핸디캡'을 극복하고 석·박사 등 고학력 지원자 수천명이 몰린 근로복지공단 공채시험에서 78대1의 경쟁을 뚫고 합격했다. 류씨는 지난 95년 7급 공무원 시험에 합격해 한 달 간 근무하고 집안 사정으로 그만둔 후 지난해 공단에 입사하기 전까지 학력과 나이에 대한 사회적 '색안경' 때문에 여러차례 고배를 마신 경험을 갖고 있다. 95년 당시만해도 서울 통계청에 정식 발령을 받았으나 아버지가 뇌졸중으로 쓰러지면서 일이 꼬이기 시작했다. 아버지 병간호와 동생 뒷바라지를 위해 휴직을 신청했으나 수습기간이라는 이유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결국 한 달여 만에 공직생활을 접은 그는 이후 나이 및 학력제한에 걸려 취업전쟁에서 고전을 면치 못했다. 류씨는 "근로복지공단이 입사시험에서 나이와 학력제한을 철폐하지 않았더라면 사회에서 영원히 도태되고 말았을 것"이라며 "청년실업을 해소하려면 먼저 채용시장부터 유연해져야 합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 같은 청년실업방안을 청와대 홈페이지에 올렸으나 '시기상조'라는 답변을 들었다고 전했다. 류씨는 "수 많은 청년들이 학력 및 연령제한에 걸려 좌절하는 경우가 많다"며 "공직사회부터 이 같은 색안경을 벗고 채용시장을 유연화해야 합니다"고 지적했다. 포항=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