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뉴 트랜드] (2005통신시장話頭) 통신+방송+전화,트리플 융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05년 통신시장은 △위성DMB(이동멀티미디어방송)와 지상파DMB 등 이른바 '휴대방송'의 등장으로 인한 통신·방송 융합 서비스 가속화 △070 인터넷전화 서비스를 계기로 한 인터넷전화의 본격 보급 등이 주요 트렌드를 형성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가 유선과 무선의 통합뿐 아니라 통신과 방송,통신과 금융 등 융합 서비스가 등장해 새로운 성장엔진을 모색한 해였다면 올해는 이같은 융합현상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유선전화와 초고속인터넷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고,이동전화마저 종전에 비해 더딘 성장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2005년 통신시장은 위기와 기회가 상존하는 해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서비스의 융합뿐 아니라 업체간 통합 움직임도 가시화되고 있어 구조조정도 본격화될 것으로 점쳐진다.
◆내 손안의 TV시대 원년
위성DMB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SK텔레콤 계열사 TU미디어는 이달부터 시범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가 만든 휴대폰 겸용 위성DMB 단말기(SCH-B100)를 내놓을 예정이다.
이에 따라 2005년은 집안에서 보는 TV가 아니라 '손안의 TV'시대의 원년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위성DMB폰은 일반 휴대폰보다 약간 큰 사이즈로 1백만화소 디지털카메라와 QVGA급 액정화면을 장착했다.
통신단말기를 통해 통신과 방송 서비스를 동시에 받게 되는 셈이다.
말 그대로 통신·방송 융합 서비스다.
오는 3월께 방송위원회가 위성DMB를 통해 KBS MBC SBS 등 지상파 TV를 재전송할 수 있도록 허용할 경우 위성DMB 가입자가 크게 늘 것으로 기대된다.
40개 채널을 보유한 위성DMB는 시범 서비스를 거쳐 오는 5월1일 유료(월 1만3천원 안팎)로 정식 방송을 시작한다.
이에 비해 지상파DMB는 무료라는 이점이 있다.
방송위원회에서 이달 중 사업자선정방안을 발표한 뒤 오는 3월께 사업자를 선정하면 4월부터 시범 서비스가 시작될 예정이다.
지상파DMB 사업권을 따내기 위한 통신사업자와 방송사와의 합종연횡도 연초부터 이슈로 등장할 전망이다.
◆통신·방송 융합의 가속화
이동멀티미디어방송 이외에 지난해 시작된 통신·방송 융합 서비스는 많다.
지난해부터 정보통신부의 시범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는 홈네트워크와 광대역통합망(BcN),텔레매틱스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들 서비스는 지난해 시범사업의 성과를 토대로 앞으로 컨버전스 시장의 확대와 유비쿼터스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토대를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부터 휴대폰을 통한 모바일뱅킹과 모바일결제가 확산되기 시작함에 따라 통신·금융간 융합 서비스와 '통신+방송+전화'서비스인 트리플플레이서비스(TPS)의 보급도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부터 3세대 이동통신인 동영상 휴대폰(WCDMA)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본격적인 투자가 이뤄짐에 따라 기존 이동통신과 차별화된 서비스 개발이 이뤄질 전망이다.
WCDMA는 물론 오는 2월말께 사업자가 선정돼 내년 4월께부터 상용화될 2.3GHz 휴대인터넷(와이브로)도 유·무선 통합과 통신·방송의 융합을 가속화시킬 서비스로 꼽힌다.
◆'070'인터넷전화 등장
올해는 또 '받는 인터넷전화 시대'의 원년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인터넷전화는 걸기만 하고 받을 수 없었다.
애니유저넷 삼성네트웍스 SK텔링크 등은 '070-XXXX-XXXX' 형태의 인터넷전화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이들은 통신위원회로부터 인터넷전화 식별번호를 부여받기 위해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로부터 인터넷전화 품질평가 인증을 받았거나 신청해 놓은 상태이다.
이 중 애니유저넷은 지난달 27일 통신위원회로부터 070-7000-XXXX부터 070-7009-XXXX의 식별번호를 부여받았다.
070 인터넷전화 1호사업자가 된 셈이다.
인터넷전화는 시내외 구분 없이 3분당 39원의 요금이 적용된다.
국제전화도 기존 전화보다 80∼85%나 저렴해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인터넷전화 요금이 싼 데다 서비스 내용도 영상전화 등 기존 전화보다 다양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장기적으로 인터넷전화가 확산되면서 기존의 유선전화를 대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명수 기자 ma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