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성관 행정자치부장관은 올해부터는 중앙부처가 지방으로 찾아가는 행정에 주력, 통합행정의 기틀을 다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허 장관은 3일 오후 정부중앙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올해부터 시.도 부시장.부지사 회의를 지방 시.도에서 돌아가며 개최하고 각부처 기획관리실장도 1년에3-4차례 정도 회의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지방과 중앙 5급 사무관의 인사교류도 확대시킬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작년에는 고시출신자의 지방과 중앙교류가 2명에 그쳤으나 올해는 38명에 이를 전망이다. 허 장관은 지방조직에 대한 사후평가 기능을 강화하고 또 공무원노조법 통과로인한 조직기능 개편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의정관리국과 감사관실에 있는 복무과와 연금과, 윤리과에 신설 예정인 노정과를 더해 하나의 국으로 묶고 또 의정관리국의 의정과와 상훈과 등 2개과를 의정관(국장급) 체제로 개편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공무원노조법 통과에 따라 노조를 전담하는 '과'를 중앙 부서와 지방자치단체에 신설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허 장관은 이날 민주노동당 소속인 이갑용 울산 동구청장과 이상범북구청장이 헌법재판소에 권한쟁의심판을 청구한 것과 관련, "예상했던 일이며 법대로 하면 될 것"이라며 더 이상의 언급을 하지 않았다. 허 장관은 또 개각설과 관련한 질문에 대해서는 "인사권자의 판단이기 때문에뭐라고 말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라"며 답변을 유보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재홍 기자 jaeh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