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일할 때다] <5ㆍ끝> 시민단체 현황과 위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참여정부 들어 시민단체는 한마디로 '전성시대'를 구가하고 있다.
청와대를 비롯해 행정부처 등에 상당수의 시민단체 출신 인사들이 대거 포진해 시민단체의 위상이 크게 강화됐다.
정치권에도 시민단체 인사들이 대거 진출했다.
지난 4·15 총선에서 당선된 국회의원들의 정치입문 전 직업을 분석한 결과 시민단체에서 일했던 당선자의 비율이 15%를 차지했다.
이처럼 시민단체는 한국사회에서 실세집단으로 떠올랐지만 현재까지 그 규모가 얼마가 되는지에 대한 정확한 자료나 통계는 없다.
가장 최근의 유일한 전수 조사는 '시민의 신문'이 발간한 '2003년 한국민간단체 총람'이다.
여기에 수록된 시민단체는 모두 1만여개에 달한다.
이 가운데 최대 시민단체로 꼽히는 곳은 참여연대.상근자가 50명이 넘고 참여사회연구소 등 부설기관이 5개,경제개혁센터 등 활동기관이 9개,사무처와 각종 회원모임도 10여개가 넘는다.
전문 자문가도 3백여명에 이른다.
국내에서 본래적 의미에 충실한 시민단체의 효시로는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을 들 수 있다.
경실련은 시민운동이 본격화하기 시작한 87년 6월 항쟁이 발생한 지 2년1개월 뒤 기존의 재야나 관변단체 등과의 변별을 선언하며 출발했다.
90년대 후반에는 환경운동연합 녹색연합 민변(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인의협(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등 진보 진영의 틀 내에서 시민운동이 분야별로 각개약진하며 '제5의 권력'으로 떠올랐다.
2000년대 들어선 진보 진영 시민운동 세력의 정치 세력화가 두드러졌다.
2000년 4·13 총선 당시 '바꿔 열풍'을 불러 일으킨 총선연대의 낙선·낙천운동이 시작이었다.
지난해에는 노사모의 핵심 세력들이 총선에 대비해 네티즌 모임인 국민의 힘(생활정치네트워크 국민의 힘)을 출범시키기도 했다.
진보 진영 시민단체의 위상이 강화하면서 최근에는 보수 시민단체의 행보에도 힘이 실리기 시작했다.
보수우익 세력의 핵심으로 등장한 '반핵반김 국민대회'가 대표적이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