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준 신임 교육부총리 임명에 대한 비판여론이 고조되고 있다. 일부 시민단체들이 임명철회를 요구하고 교육계의 보수·진보 단체가 사실상 한목소리로 반대하는 데다 한나라당도 연일 도덕성 문제를 집중 거론하면서 공격,파문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이 때문에 청와대는 5일 김종민 대변인에 이어 정찬용 인사수석까지 나서 임명배경을 설명하는 등 진화에 부심했지만 내부적으로는 곤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청와대의 반복되는 설명은 "과거 문제가 된 사안들은 모두 알려진 내용이며,현재 대학개혁의 적임자로 결정이 나 임명을 철회할 생각은 조금도 없다"로 요약된다. 노 대통령도 이날 임명장을 주면서 "이 부총리는 대학에 있으면서 잘된 것도 있고 성공하지 못한 것도 있을 것이지만 대학교육 개혁에 역량을 발휘해달라"고 신임을 확인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김우식 청와대 비서실장과 이 부총리가 지난 77년 이후 여러 권의 화학공학 대학교재를 함께 썼고 98년께 LG계열사의 사외이사를 나란히 하는 등 친분관계가 있다는 점을 들어 김 실장의 인사관여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정실인사' 보도는 전혀 사실과 다르며 불쾌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김 실장과 이 부총리는 같은 충남출신으로 대학 입학연도가 57년으로 같고 한국공학기술학회장을 나란히 맡는 등 친한 사이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그러나 김 실장이 이 부총리를 추천한 것은 아니라고 공식 해명했다. 하지만 일부 시민단체가 서울대 총장 때 사외이사 겸직,판공비 논란 등으로 중도퇴진한 사실을 알고서도 임명한 점을 거론,정부의 '도덕불감증'으로 비판을 이어가는 데는 긴장하는 분위기다. 이에 대해 이한구 한나라당 정책위 의장은 "도덕적이고 능력이 뛰어난 이가 와도 문제해결 여부가 불투명한데 행실을 둘러싸고 말이 나오는 사람을 들여와 문제가 풀릴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전여옥 대변인도 "서울대 총장 때 국정원장 등에게 보낸 명절 선물비만 6천만원"이라며 "'CEO총장'소리 이면에는 '센 선물로비'도 한몫했다"고 비판했다. 민주노동당도 임명철회를 촉구했다. 또 참여연대는 이 총리의 퇴진운동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기준 교육부총리의 장남이 한국국적을 포기한 사실이 확인됐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날 이 부총리의 장남 동주씨가 지난 2001년 공익근무로 병역의무를 마친 뒤 한국국적을 포기하고 미국으로 출국했다고 밝혔다. 허원순·홍영식·김현석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