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6일 적극적인 진화 노력에도 불구, 이기준(李基俊) 신임 교육부총리 임명 논란이 계속 확산될 조짐을 보이자 곤혹스런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특히 이 부총리의 장남이 10년 넘게 이중국적을 유지하다 병역의무를 마친 직후인 2001년 한국 국적을 포기한 사실이 드러났고, 시민단체들의 반발도 일파만파로확산될 움직임을 보이자 깊은 고민에 빠져드는 모습이다. 여기에다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가 이날 청와대 입구 인근에 집결, 기자회견을갖고 이 부총리 지명 철회를 요구하고 나서 교육계와 언론을 중심으로 일기 시작한비판 여론에 기름을 끼얹는 격이 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청와대가 이번 사태를 너무 안일하게 판단, `실기(失機)'함으로써과거 옷로비 사건때처럼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도 못막는 사태가 오는게 아니냐"며 당시의 악몽을 떠올리기도 했다. 이 때문인지 청와대는 이 부총리를 둘러싼 의혹 부분에 대해 적극 해명하고 나섰다. 이른바 우회로를 택하지 않고 `정공법'을 택하겠다는 자세다.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참모진들에게 "우리 대학이 경쟁시대를 맞아 개혁.개편되고 선진화돼야 한다"면서 "대학은 바로 산업이고, 산업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마디로 우리 교육의 문제가 대학의 경쟁력 확보와 구조조정 여부, 이공계 인적자원 개발의 경쟁력 확보에 있는만큼 신임 교육부총리를 선택하는 기준도 개인적흠결 여부에 치중하기 보다 여기에 초점이 맞춰지는게 당연하다는 입장을 피력한 셈이다. 이병완(李炳浣) 청와대 홍보수석이 기자간담회를 자청, "기업이나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에서도 외국인 CEO 및 학자를 기용하고 있는만큼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춰 도덕적 비난의 시각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면서 서울대 총장 재직시 판공비 과다집행 문제에 대해서도 "개인적으로 치부한게 아니지 않느냐"고 강한 `방어선'을 구축했다. 김종민(金鍾民) 청와대 대변인도 사전 인사검증 과정에서 이 부총리 아들의 한국국적 포기사실을 파악했고, 이것까지 감안해 최종 결정이 이뤄진 것이라는 사실을공개한 것도 이런 기류와 맥을 같이하고 있다. 청와대측은 일부 언론과 시민단체들의 비판과 지적이 일부 일리가 있긴 하지만이번 사태의 본질을 정확하게 짚지 못한게 아니냐며 비판을 위한 비판은 자제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른바 사전 검증과정에서 임명에 따르는 여러 변수들을 충분히 스크린한 만큼일부 허물을 지나치게 부각시켜서는 안되며 업무수행능력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게 아니냐는 지적이다. 일부 관계자들은 심지어 일부 언론과 시민단체에 대해 강한 불만과 섭섭함을 토로하기도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 부총리 장남의 한국 국적 포기에 대해 "청와대 민정팀에서검증을 하면서 이미 다 체크됐던 사안"이라며 "이 부총리 장남이 한국 국적을 포기한게 마치 나라를 버린 것처럼 다루고 있다"며 예민한 반응을 보였다. 그는 나아가 "글로벌 시대를 맞아 이민을 장려하기 까지 하는데 그게 과연 맞는것이냐"면서 "병역이나 국적 등의 문제는 이제 좀 넓게 봐야하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다른 핵심관계자는 "이 부총리가 어제 정식으로 임명장을 받지 않았느냐"면서 "이제 열심히 일을 하면 되는 것 아니겠느냐. 그의 업부수행역량으로 평가받기를 바란다"며 일부 언론의 `파헤치기식 보도' 자제를 요청했다. 이와함께 청와대는 시민단체와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홍보와 설득에 나선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문재인(文在寅) 시민사회수석은 6,7일 중 교육관련단체와 시민단체 인사들을 집중적으로 만나 이 부총리 임명의 불가피성을 설명하면서 이해와 협조를 요청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연합뉴스) 조복래 고형규기자 cbr@yna.co.kr uni@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