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준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은 장남의 한국 국적 포기에 대해 "나이가 40이 가까운 가장으로서의 선택을 아버지로서 존중했다"며 시민단체들의 사퇴촉구를 일축했다. 그는 6일 오전 KBS 라디오의 한 프로그램에 출연,"서울대 총장 재임 때 아들이 미국에서 근무하던 회사를 그만두고 들어와 28개월 간 군복무를 마친 뒤 미국 국적을 선택했다"며 "미국에서 태어났고 미국에서 직장을 갖고 있었고 나이가 40 가까이 된 가장으로서의 선택인 만큼 아버지로서 존중해준 것"이라고 해명했다. 참여연대 등 시민·교원단체의 퇴진 요구와 관련,"일련의 불미스러운 일이 나와 유감스럽기는 하지만 맡은 소임을 더 잘해야 하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며 "교육개혁을 잘 이끌어서 궤도에 올리는 데 일조하겠다"고 언급,사퇴 의사가 없음을 밝혔다. 그는 "맡은 일을 하면서 노력하면 오해도 해소될 것"이라며 "다소 시간이 지나면 시민·교원단체와 만나 그런 일 뿐 아니라 교육문제 등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