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붙는 세계 자원전쟁] <9> 종합상사가 뛴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큰 일 났습니다.더 확보할 방법은 없겠습니까."
지난해 7월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 15층.LG상사 석탄팀은 한국전력 쌍용양회 등 고객사들이 시간 단위로 걸어오는 전화에 시달려야 했다.
주요 유연탄 공급국이던 중국이 수출 물량을 대폭 줄이자 수요업체들에 비상이 걸렸기 때문이다.
한전은 전력 공급이 가장 많은 시점에 발전소 가동에 차질이 빚어질 수도 있는 급박한 상황.LG상사도 있는 대로 다 끌어모아 보았지만 수요 물량을 맞추기에는 턱없이 부족했다.
수 차례에 걸친 마라톤 회의 결과 석탄팀이 내린 결론은 '호주 엔샴탄광'이었다.
< 사진 : LG상사가 지분투자한 호주 퀸즈랜드 엔샴탄광에서 근로자들이 폭파 작업을 준비하고 있다. 다이너마이트를 터뜨리기에 앞서 석회가루를 땅속으로 쏟아붓는 것은 토양보호를 위해서다. >
호주 퀸즐랜드 엔샴탄광은 LG상사가 5%의 지분을 갖고 있는 연산 8백만t 규모의 대규모 광산.그러나 5% 지분에 해당하는 40만t은 이미 다 들여온 터였다.
나머지 95%를 보유한 일본 에너지회사 이데미쓰와 J파워에 억지라도 부려보자는 게 회의 결과였다.
조현용 팀장이 전화기를 들었다.
한국에 물량을 더 배정해달라는 '억지'에 가까운 요구였다.
일본측의 첫 반응은 예상대로 냉랭했다.
하지만 "장기 공급처를 확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명분을 앞세워 끈질기게 설득하자 일본측도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그렇게 받아낸 물량은 지분 물량의 6배가 넘는 2백50만t.조 팀장은 "5%의 지분이 그렇게 커보인 적은 없었다"며 활짝 웃었다.
LG상사는 35% 지분을 보유한 러시아 사하공화국의 에렐 탄광에서도 지분 물량(21만t)을 훨씬 상회하는 1백36만t을 들여왔다.
이렇게 해서 LG상사가 들여온 석탄 3백86만t은 지난 한 해 국내 전체 수요량 4천만t의 10%에 육박하는 규모다.
해외 자원개발에 종합상사들이 뛰어든 것은 지난 80년대.2차례에 걸친 오일 쇼크로 원자재 확보가 국가적인 과제로 떠오르면서 종합상사들이 해외 자원개발에 눈을 돌렸지만 과실을 따내기 시작한 것은 최근의 일이다.
원자재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된 것도 반가운 일이지만 투자에 따른 배당금이 들어오면서 짭짤한 재미를 보고 있다.
배당수익만 따지면 현대종합상사 자원개발팀은 1인당 수익성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4명의 자원개발팀이 지난해 거둔 배당수익은 3백20억원.1인당 80억원씩 벌어들인 셈이다.
삼성물산은 지난해 약 1천8백만달러를 배당받았다.
회사 당기순이익 8백19억원(추정치)의 25%에 육박하는 규모다.
오만과 카타르의 가스전과 알제리 이사우안 유전 등 상업생산에 성공한 해외투자처에서 수백만달러씩의 배당을 보내왔기 때문이다.
특히 96년 1백60만달러를 투자해 1%의 지분을 확보한 오만가스전에서는 첫 배당을 실시한 지난 2002년 4백만달러를 보내왔다.
6년 만에 두 배 장사를 한 셈이다.
이 가스전의 배당은 매년 눈덩이처럼 불어나 2003년에는 7백96만달러,지난해에는 9백만달러를 벌어들였다.
미얀마가스전을 직접 개발한 대우인터내셔널은 2009년부터 20여년간 연간 1천억원 이상의 안정적인 수익을 올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G상사도 11.25%의 지분을 갖고 있는 베트남 11-2광구에서 곧 대박이 터진다.
내년 10월부터 하루 1억3천만입방피트의 가스를 생산하면 적어도 20년간 4억달러의 수익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LG상사에 돌아오는 몫은 약 4천5백만달러.이 광구에는 대우인터내셔널과 현대종합상사도 지분을 4.87%씩 갖고 있어 이 회사들도 각각 1천8백만달러의 수익이 예상된다.
종합상사의 해외자원개발팀이 '천덕꾸러기' 신세에서 벗어난 것은 최근의 일이다.
LG상사가 대표적 사례."투자 개시 이후 한 푼의 배당도 받지 못하고 있던 십수년 동안은 말그대로 '죽을 맛'이었다"는 게 조 팀장의 솔직한 고백이다.
이 회사가 해외 자원개발 첫 케이스로 호주 엔샴광산에 발을 들여놓은 때는 83년.막강 파워를 자랑하는 일본 에너지회사들 틈새에 끼어 1천만호주달러로 5% 지분을 확보할 때까지만 해도 석탄팀의 기세는 드높았다.
엔샴탄광의 추정 매장량은 16억9천5백만t으로,당시 석탄가격으로 환산해도 7백35억달러에 달하는 엄청난 규모였기 때문이다.
석탄이 탄광 밖으로 나와 '검은황금'이 되는 시기였다.
하지만 투자한 후 10년도 넘게 기다렸지만 광산에서 날아드는 소식은 "조금만 더 기다려달라"는 하소연뿐.97년 외환위기 전후가 최대 고비였다.
함께 투자에 나섰던 기업들이 하나둘 짐을 챙겨 떠나자 회사측도 반신반의하며 눈치를 주고 있었다.
하지만 바로 그해 '가뭄 뒤 단비'처럼 처음 배당금이 송금돼오면서 석탄팀에도 햇살이 비치기 시작했다.
삼성물산의 석유가스팀도 90년대 초반까지 직원들의 '기피 1호 부서'였다.
백원남 부장은 이 팀에 발령받은 후 선배들로부터 실패담만 지겹게 들어야 했다.
당시만 해도 터미널 탱커 배관망 등 국내 기반시설이 전무해 에너지 도입계약이 무의미했던 시절이었던 탓이다.
그나마도 말레이시아 등 산유국 출신 회사의 판매대행(마케팅 에이전시) 수준에 머물렀다.
그러다 유가가 폭등하고 한국가스공사의 가스전 도입사업이 활기를 띠면서 하루 아침에 '신데렐라 부서'가 됐다.
카자흐스탄에서는 구리광산의 성공적인 위탁관리로 현지 정부의 정보기술(IT)사업을 도맡는 등 탁월한 관리능력을 인정받기도 했다.
김병일 기자 jih@hankyung.com
지난해 7월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 15층.LG상사 석탄팀은 한국전력 쌍용양회 등 고객사들이 시간 단위로 걸어오는 전화에 시달려야 했다.
주요 유연탄 공급국이던 중국이 수출 물량을 대폭 줄이자 수요업체들에 비상이 걸렸기 때문이다.
한전은 전력 공급이 가장 많은 시점에 발전소 가동에 차질이 빚어질 수도 있는 급박한 상황.LG상사도 있는 대로 다 끌어모아 보았지만 수요 물량을 맞추기에는 턱없이 부족했다.
수 차례에 걸친 마라톤 회의 결과 석탄팀이 내린 결론은 '호주 엔샴탄광'이었다.
< 사진 : LG상사가 지분투자한 호주 퀸즈랜드 엔샴탄광에서 근로자들이 폭파 작업을 준비하고 있다. 다이너마이트를 터뜨리기에 앞서 석회가루를 땅속으로 쏟아붓는 것은 토양보호를 위해서다. >
호주 퀸즐랜드 엔샴탄광은 LG상사가 5%의 지분을 갖고 있는 연산 8백만t 규모의 대규모 광산.그러나 5% 지분에 해당하는 40만t은 이미 다 들여온 터였다.
나머지 95%를 보유한 일본 에너지회사 이데미쓰와 J파워에 억지라도 부려보자는 게 회의 결과였다.
조현용 팀장이 전화기를 들었다.
한국에 물량을 더 배정해달라는 '억지'에 가까운 요구였다.
일본측의 첫 반응은 예상대로 냉랭했다.
하지만 "장기 공급처를 확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명분을 앞세워 끈질기게 설득하자 일본측도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그렇게 받아낸 물량은 지분 물량의 6배가 넘는 2백50만t.조 팀장은 "5%의 지분이 그렇게 커보인 적은 없었다"며 활짝 웃었다.
LG상사는 35% 지분을 보유한 러시아 사하공화국의 에렐 탄광에서도 지분 물량(21만t)을 훨씬 상회하는 1백36만t을 들여왔다.
이렇게 해서 LG상사가 들여온 석탄 3백86만t은 지난 한 해 국내 전체 수요량 4천만t의 10%에 육박하는 규모다.
해외 자원개발에 종합상사들이 뛰어든 것은 지난 80년대.2차례에 걸친 오일 쇼크로 원자재 확보가 국가적인 과제로 떠오르면서 종합상사들이 해외 자원개발에 눈을 돌렸지만 과실을 따내기 시작한 것은 최근의 일이다.
원자재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된 것도 반가운 일이지만 투자에 따른 배당금이 들어오면서 짭짤한 재미를 보고 있다.
배당수익만 따지면 현대종합상사 자원개발팀은 1인당 수익성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4명의 자원개발팀이 지난해 거둔 배당수익은 3백20억원.1인당 80억원씩 벌어들인 셈이다.
삼성물산은 지난해 약 1천8백만달러를 배당받았다.
회사 당기순이익 8백19억원(추정치)의 25%에 육박하는 규모다.
오만과 카타르의 가스전과 알제리 이사우안 유전 등 상업생산에 성공한 해외투자처에서 수백만달러씩의 배당을 보내왔기 때문이다.
특히 96년 1백60만달러를 투자해 1%의 지분을 확보한 오만가스전에서는 첫 배당을 실시한 지난 2002년 4백만달러를 보내왔다.
6년 만에 두 배 장사를 한 셈이다.
이 가스전의 배당은 매년 눈덩이처럼 불어나 2003년에는 7백96만달러,지난해에는 9백만달러를 벌어들였다.
미얀마가스전을 직접 개발한 대우인터내셔널은 2009년부터 20여년간 연간 1천억원 이상의 안정적인 수익을 올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G상사도 11.25%의 지분을 갖고 있는 베트남 11-2광구에서 곧 대박이 터진다.
내년 10월부터 하루 1억3천만입방피트의 가스를 생산하면 적어도 20년간 4억달러의 수익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LG상사에 돌아오는 몫은 약 4천5백만달러.이 광구에는 대우인터내셔널과 현대종합상사도 지분을 4.87%씩 갖고 있어 이 회사들도 각각 1천8백만달러의 수익이 예상된다.
종합상사의 해외자원개발팀이 '천덕꾸러기' 신세에서 벗어난 것은 최근의 일이다.
LG상사가 대표적 사례."투자 개시 이후 한 푼의 배당도 받지 못하고 있던 십수년 동안은 말그대로 '죽을 맛'이었다"는 게 조 팀장의 솔직한 고백이다.
이 회사가 해외 자원개발 첫 케이스로 호주 엔샴광산에 발을 들여놓은 때는 83년.막강 파워를 자랑하는 일본 에너지회사들 틈새에 끼어 1천만호주달러로 5% 지분을 확보할 때까지만 해도 석탄팀의 기세는 드높았다.
엔샴탄광의 추정 매장량은 16억9천5백만t으로,당시 석탄가격으로 환산해도 7백35억달러에 달하는 엄청난 규모였기 때문이다.
석탄이 탄광 밖으로 나와 '검은황금'이 되는 시기였다.
하지만 투자한 후 10년도 넘게 기다렸지만 광산에서 날아드는 소식은 "조금만 더 기다려달라"는 하소연뿐.97년 외환위기 전후가 최대 고비였다.
함께 투자에 나섰던 기업들이 하나둘 짐을 챙겨 떠나자 회사측도 반신반의하며 눈치를 주고 있었다.
하지만 바로 그해 '가뭄 뒤 단비'처럼 처음 배당금이 송금돼오면서 석탄팀에도 햇살이 비치기 시작했다.
삼성물산의 석유가스팀도 90년대 초반까지 직원들의 '기피 1호 부서'였다.
백원남 부장은 이 팀에 발령받은 후 선배들로부터 실패담만 지겹게 들어야 했다.
당시만 해도 터미널 탱커 배관망 등 국내 기반시설이 전무해 에너지 도입계약이 무의미했던 시절이었던 탓이다.
그나마도 말레이시아 등 산유국 출신 회사의 판매대행(마케팅 에이전시) 수준에 머물렀다.
그러다 유가가 폭등하고 한국가스공사의 가스전 도입사업이 활기를 띠면서 하루 아침에 '신데렐라 부서'가 됐다.
카자흐스탄에서는 구리광산의 성공적인 위탁관리로 현지 정부의 정보기술(IT)사업을 도맡는 등 탁월한 관리능력을 인정받기도 했다.
김병일 기자 ji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