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진출한 주요 다국적기업들이 중국정부의 내·외자기업 소득세 통일 방침에 대해 집단 반발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중국 중화공상시보(中華工商時報)는 14일 중국에 진출한 주요 다국적기업 54개 업체가 내·외자기업의 소득세 통일 방침을 5∼10년 연기해 달라는 내용의 청원서를 국무원(정부)에 제출키로 했다고 보도했다. 모토로라 HP 후지쓰 등 주요 다국적기업들이 청원 기업 명단에 포함됐으며 한국 업체로는 삼성과 KCC가 참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국적기업들은 "외자기업에 주어졌던 기업소득세 우대정책을 일시에 취소할 경우 경영상의 타격이 불가피하다"며 "본격 시행에 앞서 5∼10년 동안 과도기를 둘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현재 중국 국내기업의 소득세는 명목상 33%인 데 비해 외자기업은 15%를 적용받고 있다. 실제 소득세 역시 외자기업(11%)이 내자기업(23%)의 절반수준에 불과하다. 이 신문은 그러나 "중국정부는 외국기업에 대한 소득세 우대정책이 국내기업에 대한 역차별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세금우대 정책을 폐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정부는 통일 소득세를 내·외자기업 중간선인 24%로 정하는 방안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특히 54개 업체가 공동으로 청원서를 준비하고 있다는 것 자체가 외국기업의 정치세력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상하이=한우덕 특파원 woody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