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품ㆍ소재가 경쟁력이다] <下> 일본서 배운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일본의 부품·소재기업들은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정평이 나있다.
일본 제조업체들은 첨단기기에 들어가는 소형모터,실리콘 웨이퍼,반도체,세라믹 필터,청색LED(발광다이오드),광통신용렌즈 등 고기능 부품·소재를 거의 독점으로 공급하고 있다.
특히 한국 일본 대만 등이 세계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최근 액정 PDP 유기EL(전자발광소자) 등 평판 디스플레이의 경우 일본이 대부분 핵심설비와 부품을 공급하고 있다.
편광막 보호 필름 제조장비의 경우 일본기업들이 1백% 공급하고 있으며 액정 및 PDP 관련 설비와 부품은 각각 96%와 94%를 공급하고 있다.
또한 일본 전체 수출에서 전자부품·재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1990년 4.7%에서 2003년 7.5%로 높아졌다.
◆기업들의 자구노력=이같은 일본 부품·소재기업들의 경쟁력은 장기불황에도 일본 제조업체들이 꾸준히 체질을 강화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90년대 이후 두드러진 경향은 기술유출을 막고 지식재산권을 강화하는 것을 들 수있다.
중급 기술이나 보편적인 기술의 경우 한국 중국 등의 후발업체들이 베낄 수도 있다고 판단하고 있으나 몇십년에 걸쳐 터득한 핵심기술은 절대로 넘기지 않겠다는 전략이다.
일본의 카메라 제조업체인 캐논의 경우 공장내에서 사용하는 제조장비의 부품과 완제품을 외부업체에 맡기지 않고 대부분 직접 만들고 있다.
또한 LCD(액정표시화면)TV제조업체인 샤프는 휴대폰 등에 사용되는 시스템액정의 부품기술을 보호하기 위해 특허를 출원하지 않고 있다.
기술이 공개될 경우 닥치게 될 위협이 특허 이득보다 크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기업들간 협업도 새로운 추세다.
일본의 마쓰시타 도시바 히타치 등 3개 기업은 IPS알파테크놀로지라는 TFT-LCD(초박막액정화면)전문기업을 설립,삼성전자 등 해외경쟁기업에 공동 대응하고 있다.
또 경쟁이 치열하고 수익성이 낮은 시장보다는 제조노하우 등으로 시장우위를 확보한 주력제품으로 승부를 걸고 후발 기업들이 쉽게 따라 올 수 없도록 디지털카메라와 같은 신시장을 개척하는 것도 이들의 전략이다.
◆정부의 그림자 지원=일본 정부는 직접적인 지원보다는 기업-대학-연구소 등을 연결시켜 산학연구 지원 등 간접적 지원을 하는게 특징이다.
후쿠오카의 반도체 클러스터가 대표적인 예다.
후쿠오카 산업·과학기술진흥재단은 소니 NEC 마쓰시타 등 일본의 반도체 관련 대기업들과 호야 등 일본 LSI(고밀도집적회로)설계 벤처기업 등 1백15개사와 10개 대학간 협력을 이끌어내 하나의 칩에서 복수동영상을 압축·확장할 수 있는 MPEG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기도 했다.
임상택 기자 lim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