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내주께 후임 교육부총리 인선을 단행할 예정이다. 후임 교육부총리 인선기준 가운데 가장 우선시되는 것은 `대학교육 혁신'으로,노 대통령은 지난 13일 연두 기자회견에서도 "계속 집중해 가야 될 과제가 대학교육혁신"이라고 밝혔다. 또한 "대학은 산업이 돼야 한다" 내지 "경제계의 요구를 잘 아는 사람을 기용하라는 기고도 있다"는 노 대통령의 언급을 유추해 볼 때 단지 `경제 마인드'도 주요고려요소로 꼽히고 있다. 이밖에도 노 대통령이 여성 장관 숫자와 관련, "2005년에는 (참여정부가) 첫 출발할 때 만큼 회복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어 여성이 교육부총리로 기용되는 것아니냐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다. 청와대는 후임 교육부총리 인선기준를 둘러싼 다양한 전망 속에 후임자 물색에적지않은 애를 먹고 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19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현재까지 광범위하고 폭넓게인재를 발굴하고 있지만 생각만큼 쉽지 않다"고 말했고, 다른 관계자는 "사람 찾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현재 여권 주변에서는 이경숙(李慶淑) 숙명여대 총장, 조규향(曺圭香) 방송대총장, 열린우리당 이미경(李美卿) 박찬석(朴贊石) 의원, 장명수(張明秀) 한국일보이사 등이 후임자로 거론되고 있다. 지난 94년 취임 이래 3선 연임에 성공해 10년 넘게 총장직을 맡고 있는 이경숙총장은 `제2 창학'을 모토로 대학혁신을 지속해 왔으며 신세대 학생들 앞에서 춤을추는 등 `권위 파괴'로도 유명하다. 하지만 이 총장은 지난 98년 모 기업 사외이사를 맡은 바 있어 이기준(李基俊)전 교육부총리 인사파문 당시 하나의 흠결로 지적됐던 `교수의 대기업 사외이사 겸직 논란'이 재연될 수 있다. 조규향 방송대 총장은 과거 문교부에서 줄곧 대학관련 업무를 담당했으며 교육부 차관에 이어 국민의 정부 시절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을 지낸 관료 출신으로, 교육부 내에서 지명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조 총장의 경우에는 교육 행정에 대한 이해도는 높을 수 있으나, 노 대통령이 강조하는 산.학간 연결고리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 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미경 의원의 경우에는 교육계와 깊은 인연이 없는 탓에 이해관계에 얽매이지않고 대학교육 혁신을 소신껏 밀어붙일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반대로 국회 교육위 활동이라는 짧은 경험이 최대의 단점으로 꼽힌다. 경북대 총장을 지낸 박찬석 의원은 참여정부 조각 당시부터 교육부총리 하마평에 올랐으며, `지방분권화의 핵심전략으로 지방대 육성'이라는 노 대통령의 철학에발을 맞춰왔다. 이밖에도 충북대와의 통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한 이광진(李光鎭) 충남대총장, 김신복(金信福) 전 교육차관, 최현섭(崔鉉燮) 강원대 총장, 주자문(朱子文)한국학술진흥재단 이사장, 전성은(全聖恩) 교육혁신위원장 등의 이름도 오르내린다. (서울=연합뉴스) 김범현기자 kbeom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