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 초대 민정수석을 지낸 문재인(文在寅)청와대 시민사회수석이 다시 `민정수석' 직함을 갖게 될 것으로 알려져 향후 역할에 관심이 모아진다. 문 수석의 복귀가 현실화되면 지난해 2월12일 과로 등을 이유로 민정수석을 사퇴한 뒤 정확히 11개월 8일만이며, 문 수석이 `시민사회수석' 타이틀로 청와대에 복귀한 이후로는 8개월여만의 일이 된다. 이같은 문 수석의 전격적인 `원대 복귀'는 민정수석실이 현재 직면한 각종 과제의 비중을 짐작케 한다. 복잡하고 민감한 민정 업무를 감당할 수 있는 인물을 찾다보니 나온 필연적 결과인 셈이다. 이기준(李基俊) 전 교육부총리 인사파문으로 불거진 청와대 부실 인사검증 논란을 잠재우고 민정 업무를 다시 반석위에 올려놓을 수 있는 `핵심참모'라는 점이 우선적으로 고려된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민정수석-영남, 인사수석-호남' 구도를 의식하다보니 부산 출신인 문 수석이 민정수석으로 원대복귀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그러나 20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정부 초반에는 그런 안배가 있었을 수 있으나, 최근 언론에서 지적하듯 `민정-영남, 인사-호남' 이라는 지역안배 방침이나 고려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어쨌든 초대 민정수석으로 있을 당시 화물연대 파업, 사패산터널 논란 등 굵직한 갈등현안 해결을 진두지휘하며 `왕수석'이라는 별칭을 얻은 문 수석이 앞으로도과거의 `명성'을 되찾을 수 있을지가 관심이다. 우후죽순처럼 불거진 사회갈등과 대통령 측근 비리까지 겹친 참여정부 1년차 때와 `안정기'에 접어든 지금을 비교할 때 문 수석의 향후 활동은 수면 위로 나타나지않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따라서 분권형 국정운영 도입으로 사회갈등 등 국정현안 대부분이 총리를 중심으로 조율되고 관리되고 있는 상황에서 참여정부 1년차 때와는 다른 역할이 주어질 것으로 보인다. 문 수석의 역할은 노 대통령이 고유 국정과제로 삼고 있는 반부패 문제를 비롯해 사법개혁, 검찰개혁, 검찰.경찰 수사권 조정 등 주로 제도개선 업무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기준 전 부총리 파문'으로 실추된 민정수석실의 명예를 회복하는 일도문 수석에게 주어진 과제중 하나이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문 수석의 원대 복귀 배경에 대해 "대통령의 국정운영 기조와 철학을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있고, 대통령과 청와대 안팎에서 높은 신망을 얻고있지 않느냐"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대통령과 민정 업무의 밀접한 관계가 반영됐을 것"이라며 "사법개혁 등 당면 과제와 함께 민정수석실 업무를 추스리고 감당할 적임자를 찾은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노 대통령이 집권 3년차를 맞아 개혁의 고삐를 강하게 죌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과거 불가침 영역에 속했던 일부 권력기관에 대한 제도개혁 안착에 문 수석이 적임이라는 판단을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문 수석은 고위공직자 인사검증, 국정 관련 여론수렴 및 민심동향 파악 등 고유 업무 외에도 사법개혁 추진, 인사검증시스템 보완 등의 과제를 짊어질 것으로 보인다. (서울=연합뉴스) 김범현기자 kbeom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