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년간 기업 소득은 급증했지만 가계소득 증가는 정체되면서 기업과 가계부문의 경기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가계와 기업의 성장 양극화 현상' 자료에 따르면 임금소득과 소규모 자영업자의 소득을 합친 개인소득 증가율은 지난 80년대 연평균 10.6%에서 90∼96년 7.0%로 낮아진 데 이어 2000∼2004년에는 2.4%로 떨어졌다. 반면 기업소득 증가율은 80년대 7.8%,90∼96년 6.5%로 개인소득 증가율을 밑돌았으나 2000∼2004년에는 18.9%로 뛰면서 개인소득 증가율을 크게 웃돌았다. 특히 2004년 개인소득 증가율은 2.6%에 그친 데 반해 기업소득 증가율은 38.7%에 달했다. 2000∼2003년 가처분소득을 기준으로 한 실질소득 증가율도 개인부문은 0.3%로 낮아졌으나 기업은 무려 62.6%로 치솟아 개인과 기업부문간 소득격차가 더 심하게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용준 기자 juny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