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자동차 광주공장 노조간부가 생산계약직 채용과정에서 금품 수수 비리를 저지른 사건은 대단히 충격적이다. 인사권은 너무도 분명한 회사의 고유권한인데 노조간부가 어떻게 채용을 빌미로 이런 부정행위를 저지를 수 있는 것인지 도무지 납득이 가지 않는 일이다. 물론 이 회사 노조 전체가 조직적으로 인사 비리에 개입했다고 보는 것은 무리다. 하지만 이번 사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는 것은 신입사원 채용 등 인사문제에 노조가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이 너무도 분명히 드러났고 또 그것이 비리를 낳는 원인이 된 까닭이다. 계약직 채용과정에 개입하는 것은 물론 파업을 불사한다는 협박까지 하면서 계약직을 모두 정규직으로 전환시키도록 강요했다는데는 그저 어안이 벙벙할 뿐이다. 회사측이 고유권한인 인사문제에 노조의 개입을 허용했다면 강력한 노조의 힘에 밀려 어쩔수 없이 양보한 결과로밖에는 이해하기 힘들다. 특히 다른 회사들의 경우도 노조가 인사 문제에 압력을 행사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는 것이 일반적인 이야기이고 보면 어쩌면 이번 사건은 빙산의 일각일 수도 있다. 그런 점에서 우리는 문제가 대단히 심각하다고 본다. 검찰은 한 점의 의혹도 없이 이번 사건의 전모를 밝혀내야 한다. 철저한 수사를 통해 다시는 유사한 사태가 재발되지 않도록 하고 특히 왜곡된 노사관계를 바로잡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노조 역시 이번 사태에 대한 자기반성은 물론 조합원 근로조건 향상 등 노동운동의 본령에 충실하지 않으면 안된다. 힘이 있다고 해서 인사 문제 등에 지나치게 개입한다면 도덕적 신뢰성에 치명상을 입을 수밖에 없다. 도덕성을 상실한 노동운동의 결과가 어떠할 지는 불을 보듯 뻔하다. 회사측 역시 경영권 침해 행위에 대해선 단호하게 대응해나가야 건전한 노사관계가 정착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